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11.17 15:00 수정 : 2013.11.17 20:05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중 일부를 열람하고 공개한 혐의(공공기록물관리법과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등)로 민주당으로부터 고발당한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이 14일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조사를 마치고 검찰을 나서고 있다.김 의원은 지난 6월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 비공개 회의에서 ‘지난해 대선 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문을 입수해 보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유출 의혹이 제기됐다. 2013.11.14/뉴스1

[인물] 김무성

검찰 조사 받으며 찌라시 탓, 부하 탓한 ‘무대’
‘사고’쳤는데 ‘님’은 모르쇠에 당내 태클만 잔뜩

11월13일 자정을 5분가량 앞둔 시각. 이날 오후 3시께 검찰 조사를 받으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왔던 ‘무대’(‘무성 대장’의 줄임말,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의 애칭)가 약 9시간의 조사를 마치고 느릿느릿 걸어나왔다.

“선거 당시에… 찌라시 형태로 대화록 중 일부라는 문건이 들어왔습니다. …(출처는) 지금 알 수가 없습니다. …찌라시, 일종의 그런 것(증권가 정보지)인데, 그것을 밑의 사람들이 내용을 파악해서 거의 사실과 같다는 보고서 형태의 문건이었습니다.”

‘찌라시’라는 표현에서, ‘대장’이란 호칭이 무색해졌다. 대장은 찌라시에 주인공으로 나오면 모를까, 공개 석상에서 찌라시 내용을 그대로 읊는 건 대장이 할 일이 아니다. 게다가 입수 및 확인 과정의 책임은 아랫사람들에게 떠안겼다. 지난 6월 “정문헌 의원이 말해준 내용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을 종합해 문건을 만들었다”고 할 때만 해도, 주어는 무대 자신이었다. 기업가 집안 출신으로 키 181cm에 천하의 호인이라던 무대가 어쩌다 이리 잔뜩 쪼그라들었나.

무대는 2007년 당 대선 후보 경선 땐 ‘친박근혜계 좌장’으로 불렸다. 2008년 총선에선 당의 공천을 받지 못했다. 친이명박계의 ‘친박 공천 학살’이라 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힘이 없어서 미안하다. 꼭 살아서 돌아오라”고 했다. 많은 이들이 당을 떠나 ‘친박’ 깃발로 싸워서 살아 돌아왔다. 무대는 친박무소속연대의 대표선수였다.

하지만 무대는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추진과정에서 결정적으로 박 대통령과 갈라섰다. 친박의 시선은 싸늘해졌다. 무대는 자기 길을 갔다. 2010년 친이계 지원을 받아 원내대표가 됐다. 친박을 떠나서도 잘 살 줄만 알았다.

세상이 바뀌었다. 2011년 말 박 대통령이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으며 당권·대권을 모두 거머쥐었다. 무대는 이듬해 총선에서 또 공천을 받지 못할 판이 됐다. 무대는 이번엔 탈당 대신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그가 보수 분열을 막았다고들 했다. 그 덕인지 보수가 총선을 이겼다.

대선을 두어 달 앞두고 무대는 총괄선대본부장으로 캠프에 합류했다. 사무실에 야전침대를 놓고 기거하며 세세한 것까지 직접 챙겼다. 캠프가 이전과 확연히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대선도 이겼다.

분명 개국공신이지만, 박 대통령과의 관계는 아직 물음표다. 여의도 정가에선 10월 재보선으로 국회로 돌아온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를 ‘무대 견제 카드’로 본다. 서 전 대표는 무대와 같은 상도동계(김영삼계) 선배다. 견제 카드를 꺼내든 건 박 대통령이다. 무대의 당권설과 대권설이 공공연히 나도는 마당에, 그를 가만둘 리 없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측근 정치’를 허용치 않는다. 자신을 업고 ‘자기 정치’에 나선 이들을 강하게 경계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끝내 아버지를 배신하는 걸 보고 배운 학습 효과다.

무대는 주요 고비 때마다 자기 색깔을 분명히 한다. 그래서 대장이다. 하지만 그런 탓에 친박 쪽에선 ‘자기 정치’를 한다는 의심을 계속 샀다. 심지어 한때 친박을 떠났던 인물이기도 한 탓에, 박 대통령의 신뢰도 되찾지 못한 것 같다. 무대의 위축, 직접 물어본 적은 없지만, 그래서이리라. ‘사고’는 쳤는데 돕겠다는 이는 뵈지 않고, 주위에선 당권입네 대권입네 태클만 잔뜩이다. 찌라시 탓, 부하 탓 하는 가운데 대장의 별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