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4.28 20:35 수정 : 2015.04.28 22:50

진앙지인 인구 28만명 고르카
산사태로 구호품 배급 못받아
전체 군병력 10만명중 90% 동원
카트만두 중심 구호 작업 진행
총리 “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
유엔, 전체 피해자 800만명

강진이 엄습한 네팔 고르카의 라푸 마을 주민들이 28일 비를 피하기 위해 거적으로 덮어쓰고는 인도군의 헬기가 전하는 구호물자를 기다리고 있다. 험난한 산악지형으로 고립된 네팔의 마을들은 이번 지진으로 도로까지 파괴되어 구호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고르카/AFP 연합뉴스
“아버지는 방금 저기 묻혔고, 어머니도 방금 저기 묻혔어요.”

네팔 강진의 진앙지인 고르카 지역의 마을인 사우르파니 주민 한명은 27일 마을에서 걸어서 두 시간 거리에 있는 강둑의 구덩이에 일시적으로 모아둔 주검들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마을 주민 파르바티 다칼은 “우리는 피난처도 없고 식량도 없다. 주검은 사방에 그냥 흩어져 있다”고 한탄했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를 중심으로 구조 및 구호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카트만두 밖의 지역들에서는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 등 외신들이 전했다. 대표적인 예가 25일 일어난 규모 7.8 강진의 진앙지인 고르카 지역이다. 인구 약 28만명 가량인 고르카 지역 행정 책임자인 우다프 티밀시나는 “마을과 마을 사이에 일어난 산사태 때문에 구조대가 고르카 지역에 구호품을 배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우르파니 주민 다칼은 25일 지진 당시 카트만두에 있었다며 “정부 청사에 가서 ‘고향에서 희생자들의 주검을 수습하는 일을 해야 한다. 인력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하지만 담당 공무원은 ‘지금 카트만두에서 부상자 구조도 못하고 있는 데 우리한테 무엇을 바라느냐’며 거절했다”고 말했다. 인도 군의 헬리콥터를 타고 고르카 지역을 내려다 본 인도 기자는 “마을들이 완전히 파괴됐다. 어떤 의미에선 네팔 지도에서 지워져 버렸다”고 영국 <비비시>(BBC) 방송에 전했다.

네팔 정부는 26일부터 군 전체 병력 10만명 중 90%를 동원해 구조 및 구호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네팔 유일의 국제공항인 카트만두 공항에는 외국의 구조 인력과 구호품이 속속 도착하고 있다. 터키 구조대가 27일 카트만두 시내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남성 1명을 무너진 건물더미 속에서 구했고, 중국 구조대도 28일 카트만두에서 생존자 1명을 구조하는 등 성과도 있다.

27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공항에서 인도 공군 병사가 지진으로 다친 아기를 안고 구급차로 옮기려 걸어가자 아기의 어머니가 울부짖으며 뒤를 따르고 있다. 카트만두/AP 연합뉴스
하지만 고르카를 포함해 카트만두 외의 지역은 사정이 열악하기만 하다. 네팔 군은 헬리콥터 등을 동원해서 식량과 약품을 산악지역에 떨어뜨려 주고는 있지만, 산악 지역에 헬리콥터가 착륙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국제구호단체인 머시코어의 네팔 담당자인 제프리 섀넌은 “어느 마을에 제일 도움이 필요하고 많은 사망자가 나왔는지 알아보고 있지만 알 수가 없다. 산사태로 길이 막혀 있어 마을에 접근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확인된 사망자 수도 점점 늘고 있다. 네팔 내무부는 28일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4349명이며 부상자는 7000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수실 코이랄라 네팔 총리는 <로이터> 통신에 “사망자가 1만명을 넘을 수도 있다. 정부는 지금 전시체제다”고 말했다. 유엔은 이날 네팔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이들이 모두 800만명에 이르며, 심각한 피해를 입은 이들만 추려도 200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수도 카트만두 안에서도 가난한 사람들이 주로 지진 피해를 입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네팔 사회학자 바스카르 가우탐은 “카트만두 밖은 가난한 시골이다. 하지만 카트만두 안에서도 낡고 불안한 집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지진으로 집이 무너지고 남편이 다친 한 여성은 “이제 집도 없고 갈 곳도 없다. 더이상 살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