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사설] 문 대표, 자리 건다는 각오로 혁신안 만들어야 |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8일로 대표 취임 100일을 맞는다. 짧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문재인 대표 자신에겐 지나간 100일이 1년, 어쩌면 그 이상의 긴 세월처럼 느껴질 것이다. 그만큼 지금 문 대표가 처한 상황이 힘들고 새정치연합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문 대표 개인의 정치적 미래가 달렸고, 제1야당의 앞날이 걸려 있다.
4·29 재보궐선거 참패에 정청래 최고위원 발언 파문까지 겹치다 보니까, 새정치연합 내부의 갈등과 불신은 매우 심각한 상태다. 그러나 국민과 야당 지지자의 시각에서 보면, 내부의 싸움보다 중요한 건 새정치연합이 신뢰받는 대안정당, 선거에서 이기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스스로를 탈바꿈하는 일이다. 재보선 패배 이후 문재인 대표의 행보에 부족함이 있다 하더라도 쉽게 ‘지도부 교체’나 ‘당대표 퇴진’을 요구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당의 체질을 바꾸고 참신하고 능력있는 사람들을 충원하는 구조를 갖추지 못하면, 누가 당권을 잡더라도 새정치연합이 처한 위기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문재인 대표의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는 국민과 야당 지지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과감하고 혁신적인 당 쇄신안을 내놓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당 지도부가 지난 15일 ‘초계파 혁신기구’의 구성을 제안한 점에 주목한다. 기구의 형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기구에서 당내 계파와 공천 등 모든 문제를 논의하고 특정 계파가 아닌 국민의 뜻을 반영한 혁신안을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
이 기구에 당내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건 문 대표의 몫이다. 그러려면 문 대표가 여러 의견을 귀담아듣겠다는 자세와 유연한 정치력을 보여야 한다. 문 대표는 명분을 쥐고 당내 반대파를 ‘정면돌파’하려는 유혹을 느낄지 모르나, 4·29 재보선 결과에서 보듯이 실리를 담보하지 못하는 명분은 정치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른바 ‘비노’ 그룹도 문 대표의 구상에 자꾸 딴죽을 거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건 옳지 않다. 의견이 있으면 구체적으로 말하고, 함께 당을 바꿔 나가겠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특히 4·29 재보선을 빌미로 호남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야당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어떤 방식이든 제1야당의 분열은 명분 없는 행동이며 국민 지지를 얻기 힘들다. 국민은 야당의 분열이 아니라 혁신을 원한다는 점을 문 대표와 모든 당내 세력은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