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6.02 16:25
수정 : 2015.06.02 20:22
|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쓰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
|
“다 알려져…투명 공개가 피해 줄여”
복지부는 “불안 가중” 불가 재확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피해가 커지면서 감염자 발생 지역과 환자가 머문 병원 이름을 공개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정부는 ‘공개 불가’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2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3차 감염 문제가 불거진 이상 환자가 머문 병원 이름을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의료기관의 이름을 잘못 공개하면 입원 환자나 이용자들이 불필요하게 오해를 받거나 과도한 불안을 느낄 수 있다”며 공개 불가 원칙을 재확인했다. 앞서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성명을 내어 “발병 지역과 관련 병원 등을 국민에게 공개해 주요 기관들이 충분한 경각심을 갖고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많고 전염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이상 ‘비밀주의’ 방식은 더 이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그 대안으로 “의료진이 격리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격리 대상자나 밀접접촉자 등이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의료진이 해당 환자의 진료·방문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을 세우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카오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출처가 불명확한 메르스 발병 지역과 병원 명단이 공유되는 상황이어서 혼란만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은 “이미 알 만한 사람들 사이에선 병원 명단이 돌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비공개 원칙을 고수할 이유가 없다. 현시점에서는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잘못된 정보의 확산도 막을 수 있다”고 짚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그래픽 뉴스] 메르스는 어떻게 퍼졌나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