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6.09 20:19
수정 : 2015.06.09 21:31
다른 병원 전전하다 ‘확진’ 잇따라
추가 격리 대상자 또 수백명 늘어
경찰·보건소와 제대로 공조 안돼
정부가 잇따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격리 대상자 관리에 빈틈을 드러내 피해를 키우고 있다. 자가격리 관리망에 구멍이 나면서 격리 대상자가 다른 병원들을 전전하다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고 있는데 이 때문에 그새 접촉한 사람들이 새로 추가 격리 대상자가 되고, 병원 응급실 등을 폐쇄해야 하는 등 파장이 커지는 탓이다. 보건당국은 “격리 대상자가 전화를 받지 않아서”라는 궁색한 해명만 내놓고 있다.
지난 7일 서울 건국대병원에 머물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ㄱ(76번 환자·여·75살)씨와 9일 대전 을지대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다 확진된 ㄴ(90번 환자·남·62살)씨가 대표적이다. 두 환자 모두 지난달 27일 ‘슈퍼전파자’인 14번 환자가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머물 때 같은 장소에 있다가 격리 대상이 됐다. 그러나 ㄱ씨는 그새 요양병원 한곳(5월28일~6월1일)과 서울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6월5~6일)을 거쳐 지난 6일 건국대병원 응급실에서 메르스 증상이 나타났다.
ㄴ씨도 다르지 않다. 지난 1일 자택격리 대상이 된 ㄴ씨는 3일 열이 나자 충북 옥천제일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6일엔 호흡곤란으로 옥천성모병원을 방문했다. 증상이 사그라들지 않자 같은 날 을지대병원 응급실을 거쳐 8일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그 과정에서 ㄴ씨는 보건당국에 신고조차 하지 않았고 경유 병원들 역시 그가 격리 대상인지도 몰랐다. 두 환자 모두 열흘 가까이 보건당국의 관리망에서 벗어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3일부터 운영한다던 정부의 메르스 대상자 조회시스템이 6일 밤이 돼서야 가동된 것도 한 원인이 됐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현장점검반장은 “ㄱ씨한테 두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받지 않았고 ㄴ씨도 통화가 안 돼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9일 해명했다. 격리 대상자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경찰청·보건소 등과 공조해 직접 방문 확인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대책본부는 9일 ‘휴대전화 위치추적’을 활성화해 연락이 되지 않는 격리 대상자를 관리하고 역학조사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