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6.18 19:56
수정 : 2015.06.19 19:04
메르스 한달
165번 환자 강동경희대병원에서
신장질환자 메르스에 취약 ‘비상’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뒤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환자가 일주일가량 신장투석 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투석실 이용 시간이 긴데다 이용자도 100명이 넘어 이 병원에서의 추가 감염이 우려된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대책본부)는 18일 메르스 환자로 확진된 165번째 환자가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강동경희대병원 투석실에서 치료를 받아 투석실 이용 환자 111명을 격리하고 165번째 환자와의 접촉 정도를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165번째 환자는 지난 9일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16일까지 2~3일 간격으로 이 병원 투석실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 병원은 앞서 76번째 환자가 응급실에서 지난 5일 오후 4시부터 18시간 정도 머문 적이 있어 집중관리병원으로 지정돼 코호트 격리가 시행되고 있는 곳이다. 165번째 환자는 6일 아침 4시간가량 이 병원 신장투석실을 방문했는데 이때 응급실에 있던 76번째 환자와 접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5번째 환자는 격리 대상에서 빠져 있어 여전히 격리 대상 선정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동경희대병원은 자체 조사에서 두 환자의 동선이 겹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문제의 심각성은 투석 치료를 받은 신장질환자들이 메르스에 더욱 취약하다는 데 있다. 김범 중앙보훈병원 신장내과장은 “2013년 8월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나온 연구 결과를 보면, 신장투석 치료를 받던 중 메르스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환자 13명 가운데 1명을 제외하고는 입원 치료를 받을 정도로 증상이 심해져 모두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나머지 1명은 입원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증상이 가벼웠다. 김 과장은 “신장투석을 해도 건강한 신장 기능을 가진 사람의 15% 정도만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폐물이 쌓여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투석치료 환자는 메르스에 더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정은경 대책본부 반장은 “투석실 이용 환자 수가 많아서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긴급대책을 시행중”이라고 밝혔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