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관 아주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사진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
경기도 메르스 대응 자문 임승관 교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가 줄어들면서 한달째 이어지는 메르스 사태가 소강 국면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임승관 아주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8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삼성서울병원처럼 가파른 곡선이 나오지는 않겠지만, 어떤 양상으로 갈지 장담하기 힘들다”고 전망했다. 특히 임 교수는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광역자치단체)을 중심으로 한 메르스 대응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 교수는 메르스 진료와 관련해 경기도에 정책 자문을 하고 있으며, 최근 보건소에서 두번이나 음성 판정을 받은 환자를 끈질기게 살펴 확진 환자로 바로잡아 주목받았다. “광역자치단체가 주도권 잡고의료기관·전문가들 협조해
지역 네트워크 만들면
중앙정부는 지원해주면 돼” -앞으로 메르스 확산 여부를 어떻게 전망하는가? “지금 예측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 정부가 3차 감염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예상이 빗나갔다. 세계 어떤 전문가가 환자 1명이 80여명에게 메르스를 전파시킬 것이라고 예상을 했겠는가. 전문가들이 왜 예상을 못 했느냐고 하면 할 말이 없다. 앞으로 평택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 때처럼 높은 파도가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언제 끝날지 장담하기 어렵다. 우리 사회와 의료계 능력으론 3번째 올 파도로 사태를 끝내지 못한다. 두세 번은 더 파도가 올 것이다.” -메르스 확산을 막으려면 어떤 부분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할까? “지역 중심으로 사고해야 한다고 본다. 중앙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하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 대한 이해다. 중앙정부는 시스템 자체가 현장을 이해할 수 없다. 병원과 지방자치단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조사할 능력도 의지도 여력도 없는 것 같다. 이미 피로도가 극에 달해 있고 심기일전한다고 해도 새롭게 할 여력이 없다. 얼마 전에 춘천 확진 환자가 음압병실이 부족해 서울로 갔다가 거기도 포화상태라 다시 강릉으로 오지 않았나.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구조적으로 엮여 있지 않은 시스템의 문제가 드러난 것이다.” -방역시스템을 어떻게 바꿔야 하나? “광역자치단체가 주도권을 잡고, 의료기관과 전문가들이 협조하면서 지역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 중앙정부는 여기에 필요한 지원을 해주면 된다. 경기도가 여기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에는 다른 지역에 없는 조직이 있는데 그게 지난해 만든 감염병관리본부다. 경기도는 거기서 일하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지역에 맞는 진료전달체계를 만들었다. 1차 병원인 외래거점병원(안심병원)이 있고, 여기서 확진자가 나오면 2차 병원인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치료하고, 중환자가 생기면 3차 병원이자 국립대병원인 분당서울병원이 맡는 구조다. 지역에서 감염병 치료에 적합한 진료전달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핵심은 네트워킹이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과 사람, 기관과의 협조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