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10.01 19:50
수정 : 2015.10.01 20:21
여권 공천제 격돌
인선·안심번호 검토 여부 등
친박-비박간 벌써부터 신경전
전략공천 문제도 ‘갈등의 핵’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소속 의원들이 지난 30일 오후 국회에서 여야 대표가 합의한 안심번호공천제 등 선거법 개정 관련 현안을 논의하려고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
내년 4월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여권의 다툼은 앞으로 꾸려질 당내 기구로 전장을 옮겨 본격화할 전망이다. 지난 30일 의원총회에서 김무성 대표가 추진해온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폐기를 선언하고 새롭게 공천 룰을 만들 특별기구를 만들기로 했는데, 그동안의 계파간 갈등이 이 기구로 수렴될 것이기 때문이다.
특별기구 인선에서부터 험로가 예상된다. 친박근혜계와 비박근혜계 양쪽 모두 최대한 자기 쪽에 유리한 인사를 특별기구에 넣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구 수장 인선을 놓고 계파간 물밑 신경전이 에상된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특별기구에 대해 “사무총장이 안을 만들어야지, 나는 일일이 간섭 안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유철 원내대표는 “특별기구 구성은 당헌·당규를 따를 것”이라고 말해, 친박계가 다수를 점한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할 일이라는 데 무게를 뒀다.
특별기구에서 다룰 내용에 논란이 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검토 대상으로 넣을 것인지를 두고는 벌써부터 이견이 나온다. 의원총회 결과에 대해 김 대표 쪽과 비박계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의원들이 이해했고, 향후 공천 룰에 이 방안도 포함해 논의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하는 반면, 친박계는 “우리 당에선 그 제도를 채택할 의사가 전혀 없음을 어제 밝혔다”(김재원 의원)고 말해 서로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다.
또 김 대표가 “한명도 하지 않겠다”고 밝힌 전략공천 문제는 특별기구의 핵심 논제가 될 전망이다. 친박계는 현재까지 공식적으론 전략공천을 주장하지 않고 있으나, “야당이 전략공천을 하면서 새 인물을 내세우는데 우리는 구경만 하고 있을 수 없다”며 전략공천 필요성도 은근히 내비치고 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