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문답 뉴스
심상찮은 내분 진짜 원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분이 심상찮다. 의원들의 ‘탈당 릴레이’가 이어지는 가운데 27일 의원 간담회와 뒤이어 열릴 의원총회가 당의 운명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조기 선거대책위 구성을 통한 문재인 대표 2선 후퇴’라는 중재안을 제안한 수도권과 중진의원들은 간담회와 의총을 통해 문 대표와 비주류 쪽에 중재안 수용을 압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양쪽 모두 중재안을 수용하려는 의지는 강하지 않아 보인다.
1Q ‘조기선대위’가 뭐길래?
‘조기선대위’는 말 그대로 선거대책위원회를 앞당겨 빨리 구성하자는 방안이다. 수도권·중진 의원들이 수습책으로 내놓은 중재안인데, 이달 안에 선거대책위원회를 띄우고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등 공천 관련 당무 전반을 맡기자는 것이다. 통상 선대위는 선거일 1~2개월 앞두고 구성돼 기획·캠페인전략·선거운동을 담당하는 기구다. 지난해 6·4지방선거의 경우 김한길·안철수 대표가 문재인·손학규·정세균·정동영·김두관 5명의 역대 대선주자들이 모두 참여하는 ‘무지개 선대위’를 띄웠다. 그러나 이번에 수도권·중진 의원들이 제안한 조기선대위는 이와 달리 임시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의 성격을 함께 지닌다. 조기선대위가 구성되면 문 대표는 선거관련 업무를 제외한 일상적 당무와 야권통합 업무에만 전념하게 된다. 이는 ‘친노+호남’이란 이질적 층위로 구성된 새정치연합 지지층의 특성을 고려한 고육책의 성격이 짙다. 지금의 새정치연합 상황에선 ‘문재인만으로도, 문재인이 없어도’ 총선 승리를 기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역으로 이는 ‘호남만으로도, 호남이 없어도’ 승리가 난망하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2Q 비주류는 왜 ‘문재인 사퇴’만 외치나.
가장 큰 원인은 문 대표와 주변의 ‘친노 세력’에 대한 불신이다. 지금의 ‘친노-비노 갈등’은 ‘밥그릇(공천권) 싸움’으로 단순화하기엔 사정이 그리 간단치 않다. 두 세력은 출신 배경(운동권 대 전문직)과 주요 지지 기반(수도권 대 호남), 지향하는 이념(중도진보 대 중도)에서도 적잖은 차이가 있다. 이런 이질성이 선거를 앞두고 ‘공천 갈등’의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는데, 갈등이 누적되면서 ‘상호 불신’이 커지고, 이는 다시 두 세력의 이질성을 강화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게 지금의 새정치연합 상황이다. 비주류는 ‘조기선대위’라는 중재안을 ‘비주류의 대표직 사퇴 요구를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으로 본다. 문 대표가 아무리 2선으로 물러나더라도 각종 공천관련기구에 포진한 ‘친노·친문’ 성향 인사들을 통해 자신들에게 공천에서 불이익을 주려 할 것이란 근본적 불신이다. 비주류는 이런 ‘비노 불이익 공천’의 대표적 사례로 2012년 총선 공천을 꼽는다. 당시 한명숙 대표 체제의 ‘친노 지도부’가 외부인사를 영입해 공천 관련 기구를 꾸렸지만, 그 결과는 ‘노(친노)·이(이대라인)·사(486) 공천’으로 나타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문재인 대표 거취 논란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3Q 문재인은 왜 버티나?
문재인 대표와 주변 인사들 역시 비주류에 대한 불신이 깊다. 이는 문 대표가 내놓은 몇 차례 발언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문 대표는 자신을 비판하는 비주류 의원들을 ‘지도부를 흔들어 공천 밥그릇을 챙기려는’ 기득권 세력으로 본다. 이들에겐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지자 ‘후보 교체’를 요구하며 집요하게 흔들던 옛 ‘후단협’의 악몽이 트라우마처럼 남아 있다. 문재인 대표 특유의 ‘정치적 사명감’도 작용하고 있다. 자신이 대표직을 내려놓을 경우 혁신위 활동을 통해 당헌·당규에 반영한 혁신안이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혁신안의 핵심은 ‘시스템 공천’이다. 현직 국회의원에 대한 정량·정성 평가를 통해 하위 20%를 교체하고, 모든 공천을 ‘정해진 룰’에 따라 하자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기득권을 지키려는 현역 의원들의 지도부 흔들기가 계속되고 당의 리더십도 바로 설 수 없다는 생각이다. 물론 주변 참모진들에겐 문 대표가 자리를 지켜야 할 또다른 절박한 이유가 있다. 문 대표가 비주류의 퇴진 요구에 밀려 대표직을 물러날 경우 ‘대통령 후보’로서의 정치생명도 치명상을 입을 공산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4Q 수도권·중진 의원들의 중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동안 수도권·중진 의원들이 내놓은 중재안보다 더 절묘한 방책이 나오기는 힘들어 보인다. 그러나 의원들은 아직 완전히 희망을 접은 것은 아니다. 중진을 대표하는 김성곤(4선) 의원은 “탈당 흐름을 막을 순 없지만, 최소화할 순 있다고 본다”고 말한다. 지역구 사정 등으로 탈당하기 어려운 의원들을 설득해나간다면 김한길 전 대표가 움직일 공간을 가능한 협소하게 만들어 영향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셈법이다. 그러나 문 대표는 “우리가 더 작아지더라도 단단해져야 한다”며 비주류의 탈당도 감수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비주류는 오로지 문 대표 사퇴만 요구하고 있어 간극을 메울 방법이 마땅치 않다. 중재안 자체보다는 분당을 막기 위한 의원 다수의 노력에 주류-비주류 양쪽이 얼마나 압박감을 느끼느냐가 문제다. 어느 쪽도 물러서지 않겠다면 분당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 탈당 규모가 얼마나 될지는, 의원 각각의 지역구 형편과 안철수 의원에 대한 유권자들의 기대감 정도와 맞물려 있다.
이세영 이유주현 기자 monad@hani.co.kr[관련 영상] 연대와 분립, 야권경쟁 막 올랐다/ 더 정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