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1.11 13:07
수정 : 2016.01.11 17:22
|
1992년 1월 8일 시작된 수요시위가 24주년을 맞았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최 일본군 위안부 문제 정의로운 해결 세계 행동 및 1212차 정기 수요시위가 열리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요미우리신문, 일본인 49%가 긍정 평가…36%만 부정적
한국갤럽, 한국인 56%가 부정 평가…26%만 긍정 답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 정부간 합의가 한국의 외교적 패배였다는 것이 양국 국민들의 여론조사 결과로도 확인됐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11일 일본 국민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 지난 12·28 합의에 대해 “평가한다”(찬성한다는 의미)고 답한 이들이 전체의 절반 정도인 4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견줘 “평가하지 않는다”(반대한다)는 이들은 36%에 불과했다. 또,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한-일 관계가 “개선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전망을 한 이들은 50%, “개선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이들은 38%였다.
신문은 이번 합의에 대해 “한국 내부에선 비판적인 의견이 많지만, 일본에서는 오랜 현안이었던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를 이룬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기대감을 갖는 이들이 많았다”고 밝혔다.
이에 견줘 한국갤럽에서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이번 위안부 합의에 대해 “잘됐다”는 응답은 26%에 그쳤고, “잘못됐다”는 그보다 2배나 많은 56%나 됐다. 이를 반영한 듯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40%로 2주전 조사에 견줘 3%포인트나 떨어졌다. 이에 견줘 아베 정권에 대한 지지율은 지난 조사보다 4%포인트 오른 54%를 기록했다.
이번 합의에 대해 한국 정부는 주어진 현실적 제약 속에서 최선의 결과를 끌어낸 것이라 평가하고 있지만, 일본에서조차 “한국의 패배”라 봐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내 최고 권위자인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교수는 9일치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재발 방지에 대한 일본의 후속 조처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이번 합의는 1993년 고노 담화보다 후퇴한 “한국 외교의 실패”라고 규정했다. 그동안 한-일이 이 문제를 적절히 타협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온 국제법학자인 오누마 야스아키 메이지대학 특임교수마저 합의가 공개된 직후 <지지통신>과 인터뷰에서 “이번 합의는 일본이 너무 이겼다. 옛 위안부나 한국 국민이 무리하게 불만족스러운 합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고 느껴, 장래에 원망하는 마음이 남지 않을까 불안이 남는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