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3.05 12:27 수정 : 2017.03.05 15:25

2월말 기준 4만명 규모 중국기업 관광 불투명해져
시, 동남아·인도·일본 주력…마이스에 100억 투입

서울시가 마이스(MICE) 유치 규모를 지난해 기준 세계 3위 수준까지 끌어올렸으나, 올해 중국의 ‘사드 보복’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게 됐다. 현재까지 서울시를 상대로 직접 추진되어오던 중국 기업의 올해 단체관광 규모만 4만여명인데, 사드 보복이 노골화하면서 사실상 ‘없던 일’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마이스는 기업회의, 포상관광, 국제회의, 전시회의 영어 앞글자를 딴 말로, 이를 통한 관광뿐 아니라 고용, 도시 홍보 등의 효과가 크다.

5일 <한겨레> 취재 결과, 당장 이르면 5월말로 추진해오던 중국 한 대기업의 8000명 규모 단체관광이 사실상 무산될 수밖에 없게 됐다. 또 5000명 규모로 추진되던 또다른 기업 관광도 불투명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지원하는 인센티브 관광 방식으로) 2월말까지 타진·추진되던 중국 기업의 포상관광 규모만 올해 4만명 수준인데 모두 불투명해진 상태”라고 밝혔다.

올해 초대형 일정으로 서울시가 공들여왔던 5월 8000명 기업의 단체관광은, 지난해 반포한강공원에서 떼로 삼계탕을 시식하는 등 서울 일대 호텔 16곳에 머물며 도심 관광을 즐기고 간 중국 중마이그룹의 방문 규모와 같다. 항공편 입국 단체규모 역대 2위로, 당시 이들 관광의 직간접적 경제효과만 495억원이라고 한국관광공사가 전망하기도 했다. 분석이 맞는다면 ‘사드 보복’에 따른 단건 취소로 그만큼의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중국 건강보조제품 제조회사 중마이그룹 직원들이 2016년 5월6일 오후 서울 반포한강공원에서 삼계탕을 단체로 시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사드 배치 정책에 따른 ‘기상 악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보되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드가 쟁점이 된 이후부터) 중국 기업들이 단체관광을 추진은 하는데 확정을 안 하거나, 올 것처럼 하다 취소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지난해 전체를 보면 서울시가 지원 안 한 (소규모) 관광까지 집계할 수도 없을 만큼 다녀갔다”고 말했다.

서울시나 정부는 중국이 아닌 동남아 등지의 마이스 연계 관광에 더 치중할 수밖에 없게 됐다.

서울시도 올 상반기 아시아 지역을 상대로 집중 홍보·마케팅을 시작할 계획이다. 관광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중국 쪽은 지난해 방문 기업들 중심의 관광 재유치에 더 주력하고, 새롭게 부상 중인 동남아시아·인도·일본 시장 공략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을 세웠다. 시는 경기·인천 및 한국관광공사와 협력해 이달 인도, 7월 일본에서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마이스 지원 조건도 질적 요소를 강화했다. 전체 외국인·참가자수, 숙박일수 등을 고려해 지원 여부·규모를 산정하던 이전 방식에 서울시 전략산업 관련인지, 재유치된 것인지 등도 따져 인센티브 관광·기업회의는 최대 1억원, 국제회의는 1억500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마이스 참가자들을 명소 위주 관광(투어)뿐 아니라 지역 축제, 전통시장·야시장, 골목길 탐방, 서울역고가공원(서울로 7017) 등 ‘체험형 트래블’로 안내하겠다는 것도 주요 전략 가운데 하나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의 ‘2017년 마이스 육성 계획’을 5일 내놓으며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지난해보다 30억원 늘렸다. 하지만 사드 보복이라는 초대형 변수를 만나 성과를 내다보긴 어렵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도시별 마이스 개최 건수가 싱가포르(736건), 브뤼셀(665건)에 이서 494건에 이르면서 세계 3위로 발돋움했고, 2015년 메르스 여파도 박원순 시장이 직접 중국 대도시를 방문해 홍보대사 구실을 하는 등 공력을 들여 극복한 바 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