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3.31 19:37 수정 : 2016.03.31 22:23

제20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 후보자들의 선거 펼침막이 걸려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4·13 총선 D-13 야권 단일화 마지노선 임박

“야권연대는 늘 말한 대로 (후보자 간) 우열이 판명 나면 그에 따를 것이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31일 선거운동 지원차 방문한 경기 안산 고잔동 합동유세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역구 차원에서 논의 중인 후보단일화 문제에 대해 ‘우열에 따른 단일화’ 원칙을 재확인했다. “지역에서 연대가 이뤄질 경우 중앙에서 적극 지원하겠다”던 전날 발언을 한결 구체화한 것이다. 정장선 더민주 총선기획단장도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무조건 양보하라는 게 아니다. 우리 당 후보가 약한 지역에서도 얼마든지 (단일화 협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당 후보로 단일화되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적극적으로 단일화에 나설 의지가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더민주의 단일화 제안을 “소수당 후보에 대한 사퇴 강요”라고 반발하는 국민의당과 정의당을 다독이는 의미도 있다.

‘단일화 마지노선’으로 여겨져온 4월4일이 다가오면서 단일화 여부와 방법을 둘러싼 야 3당과 후보자들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다급한 쪽은 여론조사에서 2위 후보자가 많은 더민주다. 국민의당과 정의당 출마자들로 야권 지지층의 표가 분산될 경우 새누리당 후보의 당선을 눈 뜨고 지켜봐야 하는 처지인 탓이다.

경쟁 정당 출마자를 겨냥한 후보자 차원의 단일화 압박도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중앙당의 제지로 단일화 협상을 중단했던 서울 강서병의 김성호 국민의당 후보는 이날 한정애 더민주 후보에게 조건 없는 경선을 제안했다. 김 후보는 보도자료를 내어 “꽉 막혀 있는 수도권 단일화에 첫 물꼬를 트기 위한 결단”이라며 “더민주 한정애 후보와 무조건적인 단일화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야권 단일화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인 ‘다시민주주의포럼’에 중재역을 당부하며 이 단체가 제시한 어떤 조건에도 따르겠다고 약속했다.

“우열 판명 나면 그에 따를 것”
더민주 단일화 압박수위 높여
야 2~3위 접전지가 최우선 물망

강서병 김성호 국민의당 후보
“무조건 경선에 응할 것”
중·성동을 정호준 후보도
단일화 촉구하며 유세 잠정 중단

서울 중·성동을에 출마한 정호준 국민의당 후보도 이지수 더민주 후보에게 단일화를 촉구하며 “이 시간부로 선거운동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강서을의 진성준 더민주 후보는 김용성 국민의당 후보에게 단일화 제안에 응할 것을 촉구하며 ‘108배 퍼포먼스’를 시작했다. 강서갑의 금태섭 더민주 후보도 <교통방송>에 출연해 “지역에서 여러분이 단일화를 하면 좋겠다고 했고, 저 역시 어떤 조건이든 단일화에 응하겠다고 했다”며 “(다른 후보들이) 크게 생각하셔서 (단일화에) 응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중앙당과 지역구 차원에서 시도되는 이런 다각도의 노력에도 단일화가 수월하게 성사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2012년 19대 총선 때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당대당 협상으로 ‘양보 지역’과 ‘경선 지역’을 사전에 합의했던 것과 달리, 이번엔 야당 지도부가 당 차원의 연대에 일찌감치 불가 방침을 밝히면서 단일화는 온전히 후보자들이 감당할 몫으로 남겨졌기 때문이다.

현재 단일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되는 지역은 야권 출마자들의 지지도 격차가 크지 않은 수도권 일부 지역이다. 더민주와 국민의당 후보가 2~3위권에서 경합하고 있는 서울 중성동을과 은평을이 대표적이다. 단일화에 합의하더라도 시기의 문제가 남는다. 지지도가 앞서는 후보는 가급적 빨리 단일화 경선을 하는 게 유리한 반면, 뒤처진 후보는 시간을 갖고 지지도를 끌어올린 뒤 경선을 치르길 원하기 때문이다. 후보자끼리 경선 방법을 두고 지루한 줄다리기를 벌이다 투표일 사흘 전에야 단일후보를 확정했던 2010년 7월 서울 은평을 보궐선거가 그런 경우였다.

후보 개인의 완주 의지가 강해도 단일화가 쉽지 않다. 3~4위권 후보가 당선보다는 인지도 축적을 통해 ‘차기’를 노리는 신인 출마자인 경우다. 만약 이 후보자의 지지율이 한 자릿수를 넘어섰다면 완주 의지를 꺾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다. 현행 선거법상 득표율 10~15%의 출마자에겐 선거 비용의 절반을, 15%를 넘는 경우엔 비용 전액을 보전해주기 때문이다. 국회의원 선거 비용은 선거공탁금 1500만원과 공보물 인쇄 비용, 유세차량 임대비 등을 더하면 1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쟁구도나 지지율 추세상 단일화가 여의치 않다면, 남는 방법은 ‘명분’에 기대는 것뿐이다. 과거 제1야당과 진보정당의 막판 단일화에서처럼 ‘일당 독주 견제’나 ‘정권 심판’이란 대의를 앞세워 상대 후보의 ‘정치적 결단’을 압박하는 것이다. 변수는 경쟁 후보자가 속한 정당의 이념적 응집성이다. 더민주 관계자는 “국민의당은 ‘정권 심판’보다 ‘야권 재편’이 목표인데다, 후보자들도 ‘차기’를 노린 ‘보험성 출마자’가 많다. 이들에게 ‘대의명분’을 앞세워 호소하는 것도 여의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관련 기사]

▶ 바로 가기 : 바람 민감한 ‘스윙보트’ 지역…‘야권 단일화’ 최대변수
▶ 바로 가기 : 김종인 ‘산토끼 잡기’…문재인 ‘집토끼 지키기’
▶ 바로 가기 : 여야 대표 첫날부터 ‘서울 대회전’
▶ 바로 가기 : 여야 지도부 서울 총출동
▶ 바로 가기 : 출정식 장소만 봐도 공약이 보여요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