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03 19:21 수정 : 2016.04.03 22:24

지지정당 없거나 답변 유보 ‘25%’
일부지역선 30% 넘는 곳까지
공천파동·야권분열에 선택 갈등
여야 ‘뜬표잡기’ 승패 가를 변수로

757만명의 유권자가 전국 253개 지역구에서 갈피를 못 잡고 떠다니고 있다. 4·13 총선이 9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어떤 후보, 어느 정당을 찍을지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浮動層) 유권자 추정 규모다. 콘크리트 지지층을 갖고 있는 여야가 남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부동층의 표심을 얼마나 가져오느냐가 총선 승패를 가를 전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3일 확정한 4·13 총선 전체 유권자는 4210만398명이다. 한국갤럽 조사(3월29~31일)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유권자 비율은 72%(3031만명)였다. 한국갤럽 허진재 이사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된 현시점의 부동층 비율을 25% 정도로 본다. 같은 조사에서 현재 지지 정당이 없다거나 답변을 유보한 비율 25%, 4·13 총선에서 투표할 후보의 정당을 묻는 질문에 모른다거나 답변하지 않은 비율 27%, 투표할 비례대표 정당에 대해 역시 모름 또는 답변 유보한 비율 23%가 그 근거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층 3031만명에 부동층 25%를 적용하면 757만명이 아직 누굴 찍을지 마음을 정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된다. 최근 중앙선관위가 발표(3월21·22일 조사)한 적극 투표층 비율 63.9%(2694만명)로 낮춰 적용해도 부동층 유권자는 673만명에 달한다.

한국갤럽 조사(최근 20주)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은 37~42%, 더불어민주당은 19~23%, 국민의당은 8~13%, 정의당은 2~7%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반면 이 기간 지지 정당이 없거나 답변을 유보한 비율은 24~34% 정도다. 지난해 말 34%까지 올랐던 ‘지지 정당 없음, 의견 유보’ 비율은 각 당의 공천이 끝나고 선거일이 다가오자 25% 안팎까지 내려앉았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여야의 공천 갈등으로 인한 정치 혐오, 공천이 늦어지거나 내려꽂기 전략공천 후보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과거에 견줘 부동층 규모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과거 선거 열흘 전 20% 초중반 정도였던 부동층 비율이 지역에 따라서는 30%를 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실제 <국제신문> 조사(3월26·27일,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 누리집 참조)를 보면, 부산·경남 격전지 9곳의 ‘지지정당 없음·모름·무응답’ 비율은 37.4%로, 이 지역 새누리당 지지율(36%)보다 높았다.

윤 센터장은 “선거일이 다가오면 부동층이 투표 대상을 정하는 ‘선거임박효과’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각 정당의 지지율이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 새누리당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은 이례적 현상”이라고 했다. 공천 과정에서 드러난 계파간 갈등이 지지층 결집을 이완시켰다는 것이다. 윤 센터장은 “현재 여권 성향 부동층도 이완돼 있지만, 야권 부동층 역시 정권심판 기류에도 불구하고 이를 담아낼 ‘그릇’(정당)이 깨진 상태(분열)여서 심판 기류를 한 그릇에 담아내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층 표심이 여당에 불리하다는 분석도 있다. 김장수 제3정치연구소장(정치학 박사)은 “우리나라 선거의 승패는 항상 부동층이 결정해 왔다”고 했다. 그는 “여야의 콘크리트 지지층을 제외한 부동층 비율은 25~30%다. 부동층의 일반적 성향은 ‘새누리당도 싫고 더민주도 싫지만, 이번 선거에서 더 싫고 미운 쪽을 심판하겠다’는 방식으로 투표를 한다”고 했다. 김 소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부동층의 표심은 새누리당보다는 야당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