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06 19:56 수정 : 2016.04.06 22:23

kimyh@hani.co.kr

정치BAR

7일 0시 이후에 실시되는 총선 여론조사는 공표나 보도가 금지된다. 투표 당일까지 표심을 짐작할 수 없는 ‘블랙아웃’ 상태에 들어가는 것이다. 격전지일수록 방대한 여론조사 결과가 축적돼 있긴 하지만 같은 날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도 엇갈리는 경우가 많아 판세를 가늠하기 어렵다. 지난 5일 <문화방송> 서울 노원병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39.3%를 얻어 이준석 새누리당 후보(30%)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지만, <국민일보>-<시비에스> 공동 여론조사에서는 안 후보(33.9%)와 이 후보(33.7%)는 박빙이었다. 경남 창원 성산의 5일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노회찬 정의당 후보는 40.8%를 얻어 31.7%를 기록한 강기윤 새누리당 후보를 압도했지만 같은 날 <경남신문> 조사에서는 반대로 강 후보(36.6%)가 노 후보(33.2%)를 근소하게 앞섰다.

■ 19대 총선 뒤바뀐 당락

4년 전 19대 총선 때도 최종 여론조사와 당락이 뒤바뀌는 격전지가 5곳이나 있었다. 서울 서대문갑의 이성헌 새누리당 후보, 경기 광명을의 전재희 새누리당 후보는 오차범위를 벗어난 1위여서 낙승이 예상됐지만 결과는 민주통합당 우상호·이언주 후보의 승리였다. 서울 은평을은 당락이 바뀌진 않았지만 이재오 새누리당 후보와 천호선 정의당 후보의 득표율 차이는 마지막 여론조사보다 10.5%포인트가 줄어든 1.1%포인트였다. 당시 선거 내내 뒤졌던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사례가 많았는데 이명박 정권 하에서 ‘표현의 자유’가 위축돼 ‘숨은 야당표’가 여론조사에 반영되지 못했다는 게 ‘사후’ 평가였다.

19대 총선때 최종 조사결과와
당락 바뀐 격전지 5곳이나 돼

숨은 야당표 반영하기 어렵고
집전화 조사, 젊은층 누락 많아

오차범위내 우위는 의미없어
7일부터 여론조사 보도 금지

■ 집전화 여론조사 ‘젊은이를 찾아라’

지난 5일 한국리서치 여론조사센터에는 비상이 걸렸다. 3~4일 이틀에 걸쳐 진행한 수도권 관심 지역구 5곳의 여론조사 결과를 이날 오전까지 넘겨야 했지만 경기 분당갑의 20대 응답자 수가 모자랐다. 한국리서치는 이날 출근한 전화조사원 전원(70여명)을 오전 10시부터 1시간 동안 투입해 분당갑 지역에 거주하는 20대 7명의 ‘소중한’ 응답을 받아낼 수 있었다. 조사를 총괄한 오승호 한국리서치 차장은 “분당갑은 20~30대 젊은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이지만 집전화로 여론조사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국회의원 선거는 전국을 253개 지역구로 잘게 쪼개 치러지므로 여론조사도 해당 지역구의 인구 비례에 맞춰 표본을 추출해 수행해야 한다. 특정 지역의 유권자를 접하기 위해 유선전화 풀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유선전화를 ‘골동품’으로 여기는 젊은 유권자를 찾기는 더 어려워진다.

여론조사가 빈발할수록 응답자의 피로도가 커진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선거 때만 되면 언론사뿐만 아니라 후보자도 자체 여론조사에 나선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는 여론조사 경선에 나선 정당들도 안심번호를 활용한 여론조사 대열에 동참했다. 여론조사가 남발될수록 유권자들의 응답률은 낮아지고 무성의한 답변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 여론조사를 ‘현명하게’ 읽는 법

그래서 여론조사를 맹신할 게 아니라 현명하게 ‘읽어야’ 한다. 여론조사의 수치는 대략적인 예측이지, 전체 국민의 의견을 특정 수치로 대변한다고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ㄱ후보가 40%의 지지율을 얻었고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포인트’라고 한다면 같은 여론조사를 100차례 했을 때 95번은 ㄱ후보의 지지율이 37~43% 구간에 들어있을 거란 얘기다. 통상적으로 총선 지역구 여론조사는 500샘플 정도가 표집되고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4%포인트다. 즉 ㄱ후보와 ㄴ후보의 지지율 차이가 8.8%포인트 안쪽이면 단정적으로 우열을 판단해선 안 된다는 얘기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