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14 19:38 수정 : 2016.04.15 14:00

4·13 총선 이후 민심 르포/부산

“깜짝 놀랐심니더. 이렇게 야당이 선전할 것이라고는 몰랐지예.”

14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만난 신아무개(64·부산진구 양정동)씨는 “새누리당이 텃밭인 부산에서 참패한 게 믿기지 않는다. 새누리당은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새누리당을 찍었다는 그는 “앞으로는 정당을 보고 찍지 않고 인물을 보고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20대 총선 정당득표율
부산시민들은 이날 부산의 지역구 18석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5석을 차지했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다는 반응을 쏟아냈다. 부산에선 1990년 3당 합당이 된 뒤 친박연대 등 새누리당 성향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를 빼고는 ‘반새누리당’ 후보들이 당선된 사례가 매우 드물다. 야당 간판을 달고 나온 후보가 가장 많이 당선된 것은 4년 전 19대 국회의원 선거 때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사상)와 조경태(사하을) 의원 등 2명이었다. 이번엔 무려 5명이다.

새누리당의 참패와 야당 약진의 이유에 대해 부산시민들은 대체로 ‘변화’를 첫 번째로 꼽았다. 김아무개(75·연제구 연산동)씨는 “신공항이 부산에 들어설 것이라고 생각해서 두 번이나 여당 대통령을 뽑아줬는데 여당이 부산과 대구를 싸우게만 만들고 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싹쓸이 노려 조경태까지 입당
1석 얻으려다 5석 잃어”

“야당 후보들 갑자기 나온 것 아냐
꾸준히 노력해 경쟁력 갖춰” 칭찬

새누리당의 공천 파동을 질책하는 이들도 많았다. 회사원 전아무개(54·금정구 장전동)씨는 “친박을 살리려고 유승민 의원에게 공천을 주지 않고 김무성 대표가 옥새를 들고 부산에 오는 것을 보고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지역구가 근처 지역구에 편입되자 불출마를 선언한 정의화 국회의장을 제외한 부산의 새누리당 현역 의원 15명 모두가 다시 공천받은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박아무개(44)씨는 “깃발만 꽂으면 당선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현역 의원 교체를 한 명도 하지 않은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조경태 의원이 더민주를 탈당해 새누리당 간판을 달고 출마한 것이 새누리당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얘기도 나왔다. 회사원 조아무개(54)씨는 “문재인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자 새누리당이 부산에서 18석 모두를 싹쓸이하려고 조 의원의 입당을 받아줬다. 결과적으로 1석을 얻으려고 하다가 5석을 잃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의원이 새누리당에 입당하면서 ‘18대 0’ 가능성이 거론되자 되레 견제 심리를 발동하게 됐다는 것이다.

야당 후보들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 부지런히 준비했다는 칭찬도 나왔다. 최아무개(49·북구 화명동)씨는 “이번에 당선된 야당 후보들은 갑자기 출마한 것이 아니라 같은 지역에서 여러 차례 출마하며 인지도도 쌓았고 인물 경쟁력도 있어서 당선된 것 같다”고 말했다. 서금성(73)씨는 “사실 그동안 야권 후보가 40%대의 득표율을 올리는 등 지역구도가 깨지는 조짐은 이미 있었다. 부산에서 특정 정당이 독식하는 지역구도는 이미 깨졌고 앞으로 무너지는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구도의 균열은 부산과 이웃한 경남 김해와 양산에도 확인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에선 처음으로 2개 지역구 모두 야당이 이겼다. 양산 지역구 2곳 가운데 1곳에서 야당 후보가 당선됐다.

‘낙동강 벨트’로 불리는 부산·경남 9개 선거구 가운데 5곳에서 야당이 승리했다. 부산시민들이 출퇴근을 많이 하는 창원까지 포함하면 부산·경남에서만 9명의 야당 후보가 당선됐다.

회사원 강아무개(50·창원시 의창구)씨는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박근혜 정권에 대한 피로감이 밑바닥 정서에 깊게 깔려 있었는데 새누리당이 압승할 것이라는 보도를 접한 시민들이 견제 심리를 발동한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창원/최상원 기자 kskim@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15_국민의당, 새누리당 표 잠식했나]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