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14 20:00 수정 : 2016.04.14 20:00

4·13 총선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국민의당의 대약진으로 20년 만에 ‘3당 체제’가 만들어진 것이다. 신생 정당인 국민의당은 단기간에 38석을 얻고 정당득표에선 더불어민주당을 앞서는 큰 성과를 거뒀다. 안철수 대표가 제1야당을 탈당할 때만 해도 성공 여부가 불투명했던 ‘제3당 실험’은 선거를 통해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기존의 여야 대결구도를 뛰어넘는 제3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욕구가 상당히 넓고 강하게 존재함을 보여준다. 방송 3사의 출구조사 분석을 보면, 국민의당이 꼭 야당 지지자만 흡수한 건 아니다. 지역구에서 새누리당에 투표한 유권자 가운데 12.9%가 정당투표에선 국민의당을 선택했다. 이는 더민주 후보를 찍은 유권자 가운데 정당투표에서 국민의당을 선택한 비율(20.8%)보다는 작지만, 그래도 국민의당이 야당 표만 나눠 가진 게 아니란 걸 보여준다. 국민의당이 야권 기반을 확장했다는 주장이 현실에서 증명된 셈이다. 제3당의 출현으로 새누리당은 보수개혁의 기치를 강화하라는 요구에, 더민주는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정당으로 거듭나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제1당으로 올라선 더민주(123석)와 2당으로 떨어진 새누리당(122석) 모두 원내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기에 제3당인 국민의당의 정치적 위상은 더욱 커졌다. 그러나 분명한 건, 국민의당이 뚜렷한 노선과 비전을 보여줘야지 단지 두 거대 정당 사이에서 줄타기만 하려 해선 안 된다는 점이다. 새누리와 더민주 사이에서 기계적 균형을 취하며 캐스팅보트를 행사하라고 유권자들이 높은 지지를 보낸 건 아니란 걸 잊지 말아야 한다.

선거에서 표출된 민심의 요구는, 현 정권의 독선적인 국정운영을 끝내고 국회가 주도해서 나라를 제대로 이끌어달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려면 20년 만에 출현한 3당 체제를 정치적 거래와 타협의 구조로만 봐선 안 되며, 국민 요구를 수렴해서 정부를 움직이는 과정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런 책임감을 가장 무겁게 느껴야 할 정당은 바로 국민의당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