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4.17 19:57 수정 : 2016.04.17 21:08

새누리당 김세연·이학재·황영철·오신환 의원(왼쪽부터)이 17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원유철 비대위원장 체제 반대’ 기자회견을 연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4·13 총선 이후 위기의 새누리

‘원유철 체제’ 출범도 전에 삐걱
비박 당선자들 “당 정신 못차려”
심재철·김재경 의원도 사퇴 요구
‘친박 2선 후퇴론’ 강한 목소리

총선 참패를 수습하려 새누리당이 부랴부랴 꾸린 원유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출범도 하기 전에 강한 당내 반발에 직면했다. ‘고육지책’이라며 마지못해 비대위를 수용하려던 분위기가 주말을 거치며 급변하고 있다.

김세연, 이학재, 황영철, 오신환 의원과 주광덕 당선자는 17일 ‘당을 환골탈태시킬 비대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제목의 성명에서 원유철 비대위원장 체제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총선에서 국민은 강력한 레드카드를 꺼냈지만 아직도 당은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처절한 반성과 쇄신 없이 적당히 시간을 끌며 국민의 회초리가 잦아지길 기다리는 것은 민심에 대한 반역이다”라며 “선거 패배에 책임지고 물러난 지도부는 비대위원장을 추천할 명분도 권한도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원 원내대표가 아닌 새로 뽑힐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관리형이 아닌 쇄신형으로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며 “당이 처절한 반성을 한다면서 원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게 맞느냐. 국민들은 우리 당이 제대로 총선 결과를 받아들이고 있느냐고 반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지난 14일 밤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외부 인사 영입이 어렵고 시간이 촉박하다는 이유로 원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추천했다. 원유철 비대위 체제는 이번주 초 비대위원을 발표하고 22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추인받을 예정이었다. 한 최고위 참석자는 “처음엔 화합의 의미로 호남에서 승리한 이정현 당선자를 비대위원장으로 삼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이 당선자가 당대표에 출마하겠다는 말을 한 적이 있어 무산됐다”고 말했다.

원유철 비대위 불가론은 다른 곳에서도 터져나왔다. 한 부산지역 재선 의원은 “의원들 사이에서 최고위가 무슨 권한으로 원유철 비대위 체제를 꾸리냐는 반발이 심하다. 책임질 사람들이 날림, 비정상 비대위를 만들었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며 “서로 긴밀하게 의견을 나누고 있는 만큼 주초에 집단적인 목소리가 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5선에 오른 심재철 의원과 4선에 성공한 김재경 의원도 각각 보도자료를 내어 “원 원내대표가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국민에게 얼굴을 내미는 것은 정말 뻔뻔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원 원내대표는 “당이 걱정되어서 하시는 분들의 말을 이해한다. 저도 고사했지만 최고위에서 추천을 했다”며 “부족하지만 책임감을 갖고 일하겠다. 비대위원도 개혁적, 중립적인 분을 모시겠다”고 말했다.

당내의 ‘원유철 비대위원장 불가론’은 ‘친박계 2선 후퇴론’의 성격이 강하다. 5월초로 예정된 새 원내대표 선출과 6월 새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친박계가 전면에 나서선 안 된다는 주장이다. 비박계는 “주류인 친박계가 원유철 비대위 체계로 어물쩍 여론의 소나기를 피한 뒤 전당대회 당권 경쟁에서 유리한 국면을 만들어가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낙선한 이준석 전 비대위원은 16일 페이스북에 “낙선인사를 다니다 보니 친박계가 다시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려는 모습에 대한 불만을 감지한다”고 적었다.

유력한 당대표 후보로 꼽혀온 친박 실세 최경환 의원이 이날도 언론 접촉을 피한 채 ‘숙고’ 모양새를 이어간 것도 친박 주도의 공천과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론을 의식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의 총선 패배 내홍은 당내 강력한 구심점이 없어 길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당대표는 물러났고, 대선주자는 부재다. 과거 박근혜 전 대표 시절처럼 당내 지분을 장악한 중심이 없다. 당을 추스르는 데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