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5.03 20:06
수정 : 2016.05.03 22:02
|
한은총재-부총리, 독일서 어색한 만남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를 앞두고 사진을 찍고 있다. 유 부총리와 이 총재는 언론에 공개된 포토세션에서 악수만 나눴을 뿐 별다른 얘기를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
하나금융투자, 구조조정 보고서
현실화땐 수출입은 BIS 10% 밑돌아
은행들, 한은에 지급준비율 인하 요구
국내 은행들이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조선·해운사에 빌려준 자금이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면 추가로 쌓아야 할 충당금 규모가 최대 9조원까지 늘어나리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경우 수출입은행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수밖에 없어 자본확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하나금융투자는 3일 ‘해운, 조선업 부실대출 가능성과 조선업 은행권 영향’ 보고서를 내어 부실이 현실화된 대우조선해양·한진중공업·현대상선·한진해운·창명해운 등 5개 조선·해운사에 은행들이 빌려준 돈을 부실 대출로 분류하면 추가로 쌓아야 할 충당금 규모가 최대 7조900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취약 업종에 속하는 기업에 돈을 빌려주더라도 손실이 확정된 경우가 아니면 ‘정상’ 여신으로 분류해 따로 충당금을 쌓지 않는다. 대손충당금은 은행들이 빌려준 돈을 떼일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해두는 돈으로, 3개월 이상 연체돼 ‘고정이하 여신’으로 분류되면 대출금의 20~100%를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현재 이들 회사에 대한 은행들의 위험노출액은 24조원에 이른다. 보고서를 쓴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개 부실기업 여신에 대해 대부분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고정이하로 묶이면 은행들의 충당금 부담이 국책은행은 6조6000억원, 시중은행은 1조3000억원까지 늘 수 있다” 분석했다.
특히 수출입은행은 건전성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5개 회사에 대해 수출입은행이 갖고 있는 위험노출액이 12조8160억원가량인데, 이에 대한 충당금을 쌓으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25%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수출입은행의 현재 자기자본비율은 10.04%로 금융당국 권고 기준인 10.0%를 겨우 턱걸이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수출입은행이 지금 수준의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려면 4조7000억원 이상 자본확충이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 정부와 한국은행이 기업 구조조정의 실탄 마련을 위한 자본확충을 누가 할지를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자본금의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다.
보고서는 또 현대중공업 등 다른 조선·해운업체들의 여신마저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면 충당금이 최대 9조원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취약업종 대출의 대부분을 보유한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에 대한 자본확충이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에 요구불예금의 지급준비율(7.0%)을 내려달라고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에게 건의했다.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지급준비금 부담을 덜어 수익성을 개선하게 해달라는 취지다.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예금 지급을 못 할 경우에 대비해 한은에 의무적으로 쌓아놓는 것이다.
박승헌 기자
abc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