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0.18 22:16 수정 : 2016.10.18 22:16

맥킨지 ‘자력 생존 어렵다’ 보고서에
금융위 “참고자료”-산업부 “활용”
산은-수은, 출자전환 여부 이견
“상장폐지 막아 1년 버티기” 비판
맥킨지 3년전 “해양 주력” 조언 논란

‘수주 절벽’으로 갈수록 사정이 나빠지는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이 지지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조선업 전체의 구조조정 방향을 두고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물론, 대주주이자 주요 채권자인 두 국책은행 간에도 이견이 불거지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최근 논란을 부른 조선업 관련 ‘맥킨지 보고서’에 대해 “참고자료”라고 선을 그었다. 이 보고서는 조선업 구조조정에 앞서 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맥킨지에 컨설팅을 의뢰한 것으로, 조선 빅3 가운데 대우조선의 생존이 가장 힘들다는 내용을 초안에 담은 게 알려져 파문을 일으켰다. 최종안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임 위원장은 “맥킨지 보고서도 참고하겠지만 경제·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칠 사안을 정밀하게 보아 정부와 업계에서 합동으로 (구조조정 방향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현재로선 대우조선의 정상화 지원 방침을 이어가겠다는 뜻에 가깝다. 다만 임 위원장은 “자구노력을 중심으로 (대우조선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채권은행과 금융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자구노력이 충분치 않거나 메울 수 없을 만큼 유동성이 모자랄 때 등 모든 케이스에서 정상화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단서를 달았다.

또다른 주무부처인 산업부의 태도는 미묘하게 다르다. 산업부 관계자는 “맥킨지 보고서의 최종안이 정부에 전달되면 100% 의존하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히 활용할 계획이다. 대우조선의 경우 금융위는 재무나 자본 상태를 보는 것이고, 산업부는 산업 경쟁력을 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향후 ‘조선 빅2 체제’와 ‘조선 빅3 체제’를 모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조선업의 미래를 짚어보겠다는 태도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채권단도 온도 차를 드러내기는 마찬가지다. 대우조선에 물린 여신 일부를 출자전환 할 것인지를 두고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의견이 다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서별관회의에서 4조2천억원의 지원이 결정된 이후로도 상황이 악화해 자본잠식 폭이 커졌다. 이미 대우조선 대주주인 산은과 달리 수은은 유동성을 지원하는 대신에 출자전환 부담을 져야 할 필요가 생기자 난색을 드러내고 있다. 수은 관계자는 “유동성 지원에서 한발 더 나아간 출자전환은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부가 결정한 대로 따를 수밖에 없지만 먼저 당위성과 타당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이날 국감에서 “출자전환은 필요하다고 판단해 범위를 두고 산은과 수은이 협의중이며, 조만간 확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복잡하게 뒤얽힌 이해관계 속에서 대우조선의 구조조정은 점점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줄곧 영업적자를 내면서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된 탓에 출자전환뿐 아니라 유동성 지원이 추가로 필요할 수도 있다는 얘기마저 나온다. 지난해 서별관회의의 지원 결정의 근거가 된 전제와 예상들이 업황 악화로 모두 무너졌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의 한 박사는 “단순히 1억~2억원이 아니라 1조원 이상의 예상치가 틀렸는데도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현재는 상장폐지만 막아 내년 1년을 버티자는 태도에 가깝다”고 짚었다.

한편 조선업 컨설팅을 맡은 맥킨지가 3년 전에 대우조선에 해양플랜트 사업에 주력하라는 잘못된 조언을 했던 것으로 뒤늦게 드러나 논란거리다. 조선업계의 설명을 종합하면, 대우조선은 2013년 상반기에 회사 비전 선포를 앞두고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맥킨지에 경영 컨설팅을 의뢰했다. 맥킨지는 당시 대우조선에 “해양 부문은 2020년까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사업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해 현실과 엇나간 전략을 세우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맥킨지는 3년이 지난 현재, 조선업 컨설팅 보고서 초안에서 대우조선의 자력 생존이 힘들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정훈 고나무 기자 ljh9242@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