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5.14 09:51 수정 : 2017.05.14 14:05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소집한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보고를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NSC상임위 주재…“국제 평화·안전에 심각한 도전행위”
“군 철저 대비태세…국제사회 공조해서 필요한 조처” 당부
“북 오판 않도록 단호히 대응…태도 변화 때 대화 가능성 보여야”

시간대별 청와대 대응조처도 설명
5:27 북 미사일 발사→5:49 위기관리센터, 임종석 비서실장에 보고
6:08 문 대통령 “김관진 안보실장이 직접 보고하라”
7:00 김 실장 주재 NSC상임위
8:00 문 대통령, NSC 상임위 주재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소집한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보고를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신정부가 출범한 지 불과 며칠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북한의 무모한 도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동시에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부터 20분간 청와대 위기관리상황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주재하고 이렇게 밝혔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머리발언에서 “북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의 관련 결의안에 대한 명백한 위반일 뿐 아니라 한반도는 물론, 국제 평화와 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행위다. 우리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군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어떠한 군사도발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바란다”며 “외교 당국에서는 미국 등 우방국, 그리고 국제사회와 공조해서 북의 도발행위에 대해 필요한 조처를 취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이 마무리된 뒤, 이순진 합참의장이 화상으로 상황을 보고했고, 이어 이병호 국정원장, 한민구 국방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이 부처별 대응방안을 보고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대화가 가능하더라도 북의 태도 변화가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함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군은 굳건한 한미동맹 기반으로 우리 군의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등 북의 도발에 대한 억제력을 빠른 시일내에 강화해나가길 바란다”며 “특히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 추진상황을 점검해 속도를 높이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가 북의 도발을 인지하고 빠르게 국가안전보장회의를 개최해 신속하고 단호히 대응하고 있는 만큼 국민들도 새 정부의 조치를 믿고 안심하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북 미사일 발사 뒤 청와대의 대응 과정을 시간대별로 공개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직접 발표한 시간대별 대응 내용을 보면, 이날 새벽 5시27분 북한 탄도미사일이 발사된 뒤 5시49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상황실이 관련 내용을 임종석 비서실장에게 보고했고, 임 실장은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개최를 준비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임 실장이 6시8분 문 대통령에게 미사일 발사 관련 사항을 보고했고, 문 대통령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직접 보고하라”고 지시했다고 임 실장은 전했다. 6시13분 임 실장이 김관진 실장에게 대통령 지시사항을 전달했고, 9분 뒤인 6시22분에 김 실장이 임 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께 보고를 완료했으며, 엔에스시 즉각 소집 및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다”는 내용을 알려왔다고 임 실장은 밝혔다. 이어 오전 7시 김관진 실장 주재 엔에스시 상임위원회가 열렸고, 문 대통령은 그 가운데 오전 8시부터 20분 동안 직접 엔에스시를 주재했다. 이날 엔에스시 회의에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한민구 국방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이병호 국가정보원장과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참석했다.

임 실장은 시간대별 조처 내용을 발표하면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상황을 설명하는 게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