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7.03 19:42
수정 : 2017.07.04 11:34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청와대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 접견
문 대통령 “북 참여땐 세계평화 기여
시진핑 만나면 북 설득 요청할 것”
바흐 “올림픽 정신 부합 적극 지지”
스포츠 고리로 대화의 장 확대 의지
청와대, 단일팀·분산개최까지 염두
남북 체육회담 등 북 선택이 ‘변수’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은 3일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에) 참여한다면 올림픽 정신 고취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과 세계의 평화, 그리고 인류 화합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의 참가를 전제로 남북한 분산 개최나 여자아이스하키 등 일부 종목에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는 방안도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말 한-미 정상회담에서 남북 대화 재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 만큼, 우선 스포츠 교류를 통해 남북 화해의 물꼬를 트겠다는 구상을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만나 “북한의 참여는 아이오시의 결정에 달려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바흐 위원장의 역할을 당부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바흐 위원장은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시드니올림픽 북한 참가 문제를 논의한 경험을 얘기하며 “당시 김 대통령이 ‘북한이 동의하면 나는 무엇이든 동의한다’고 말했는데, 그 한마디로 북한을 설득했다”며 “저는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 화해와 한반도 평화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이것이 올림픽 정신에 부합하는 길”이라고 답했다.
문 대통령이 이처럼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에 공을 들이는 것은, 스포츠라는 비정치적 분야의 교류를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대화의 장을 넓혀가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평화통일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대한민국의 주도적 역할”과 “인도주의적 사안을 포함한 문제들에 대한 남북간 대화 재개” 등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낸 만큼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자신의 대북 구상을 펼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바흐 위원장과의 접견에서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 평화 구축에 있어 한국의 주도적 역할과 인도적 분야의 지지를 확보했으므로, 스포츠 분야의 협력 강화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당장 ‘스포츠 외교’에 나설 뜻을 밝혔다. 이날 바흐 위원장이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선) 국제적 홍보가 굉장히 중요한데, 중국과 일본이 차기 대회에 관심을 보이는 만큼 중국, 일본이 함께 협조하면 좋은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조언하자, 문 대통령은 “나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나면 북한의 참가를 위해 중국 쪽의 협력을 구하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오는 7~8일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 등을 만날 예정이다.
정부 차원에서는 여자아이스하키와 쇼트트랙 등 일부 종목에 대한 남북 단일팀 구성 방안은 물론 평창동계올림픽 남북한 분산 개최도 열어놓고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달 20일 북한 마식령 스키장을 활용하는 등의 분산 개최 구상을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남북단일팀 구성은 남북 간 경기력의 차이, 남북 선수 구성 비율, 훈련 일정 등의 ‘장벽’이 존재하고, 분산 개최의 경우 북한에 대한 안전문제와 대회 개최를 위한 각종 설비 점검 등 까다로운 절차가 남아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평화올림픽을 하려면 지금이라도 당장 남북 양쪽의 올림픽위원회가 만나 체육회담을 통해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바흐 위원장과의) 대화 핵심은 ‘북한팀의 참가’에 방점이 찍혀 있다”며 “참가 형태나 방법은 북한의 참가가 확정된 뒤에 논의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최혜정 김창금 기자
idu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