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9.08 20:44
수정 : 2017.09.08 21:46
러시아·브릭스·미국·독일 이어 프랑스
잇따라 주요국 접촉하며 ‘대화 재개’ 강조
전화외교로 제재 재촉 미국에 ‘대응’ 측면도
러시아 쪽 “제재 소진돼”, 제재 무용론 다시 제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8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문제의 ‘대화를 통한 해결'을 재차 강조했다. 전날에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전화해 “평화적 해법”을 강조했는데, 잇단 전화 외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일본 정상 등과 통화하면서 대북 압박을 논의하는 것에 ‘대응’하는 성격도 있어 보인다.
중국 외교부 누리집 자료를 보면, 시 주석은 마크롱 대통령에게 “중국은 조선(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며, 국제 비확산 체제를 굳게 지키며, 동북아 평화 안정을 굳게 지킬 것”이라고 말하고, “조선반도 문제는 최종적으로 대화와 협상을 포함한 평화적 방식으로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형세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는 마크롱 대통령이 “프랑스는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위해 힘쓸 것이며, 한반도 핵 문제 해결과 관련한 중국의 입장 및 중요한 역할을 중시하고, 중국과 협력을 강화해 적절한 해결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프랑스 엘리제궁을 인용해, 마크롱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을 재차 강조했다며 “이같은 도발은 국제사회가 평양의 협상 복귀라는 목표를 위한 새로운 압박을 취해 위험한 상황을 피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중국의 역할’을, 프랑스는 ‘새로운 압박’을 강조했지만, 궁극적 목표로 ‘대화’를 제시한 점에선 같다.
북한의 6차 핵실험 뒤 미국이 새 안보리 제재 결의안 시한을 제시하고 초안을 회람하는 등 관련국들을 압박하는 국면에서, 시 주석은 주요국들을 잇따라 접촉하면서 ‘중국식’ 해법을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핵실험 당일 시 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난 것을 시작으로 4~5일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서 신흥국 지도자들을 만났다. 6일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7일엔 메르켈 독일 총리와 통화했다.
한편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8일 기자회견에서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최종안에 결론을 내리기는 이르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인테르팍스> 통신이 전했다. 이날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러시아는 국제적 비핵화 노력을 북한이 명백히 무시한 것에 실망했다”면서도 “제재를 비롯한 압력 극대화 정책은 소진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제 해결을 위한 러시아와 중국의 공동 제안”에 기반한 대화를 강조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