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28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자신의 사무실에 출근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
점점 맞춰지는 의혹 퍼즐…궁지 몰리는 MB
특활비
김주성, 상납 관련 MB 독대
류우익 당시 대통령실장도
“대면보고 있었다” 검찰 진술
MB 상납 묵인·방조 드러나면
뇌물죄 성립 가능성 커
다스
“MB가 다스설립 지시” 검찰 진술한
김성우 전 사장은 현대건설 근무때
8년간 자금담당으로 이명박 보좌
측근들의 입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점점 막다른 궁지로 몰고 있다. ㈜다스와 국가정보원 특활비와 관련한 수사가 8부 능선을 넘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년간 숱한 의혹을 무사히 헤쳐온 이 전 대통령이 이번 검찰 수사는 쉽게 피해 가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16일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 특활비 상납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 김주성(71) 전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은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복심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국가정보원의 금고지기로 돈을 직접 청와대로 전달한 ‘키맨’인 김 전 기획조정실장이 이 전 대통령과 독대해 상납을 보고했다는 진술을 검찰이 확보한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 후보 선거 캠프의 한 핵심 관계자는 “2008년 정권 출범 직후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장 인선보다 기조실장 인선에 더 신경을 써 김 전 실장을 앉혔을 정도였다”고 전했다. 이 전 대통령은 2005년 서울시장 시절 코오롱 부회장 출신인 김 전 실장을 서울시 산하 세종문화회관 대표이사로 임명하기도 했다. 기업가 출신을 생소한 분야에 중용할 만큼 신임이 두터웠다는 의미다.
김 전 실장은 2008년 국정원 예산관을 통해 김백준(78)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에게 현금 2억원을 전달한 직후, 이례적으로 이 전 대통령 면담을 요청했다. 검찰은 이 면담이 실제로 성사된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김 전 실장은 검찰 조사에서 당시 보고는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이 주선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김 전 실장은 이 전 대통령에게 ‘국정원 돈이 청와대에 전달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비공개로 검찰 조사를 받은 류우익 당시 대통령실장도 ‘당시 대면보고가 있었던 것은 맞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진술들이 사실이라면 그 파급력은 클 수밖에 없다. 이 전 대통령이 ‘집사’ 노릇을 하던 핵심 참모가 뭉칫돈을 수수한 사실을 알았고, 불법성에 대한 경고를 받고도 묵인·방조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에 인사권, 감독권 등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에서 뇌물죄 성립 요건인 ‘대가성’이 인정될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결국 측근들의 진술이 하나같이 이 전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해명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고 있는 셈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은 혐의를 받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왼쪽 사진)과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의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사진은 16일 오전 김 전 기획관과 김 전 비서관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는 모습.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