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2.25 22:03 수정 : 2018.02.25 22:07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이끄는 북한 대표단이 25일 열린 평창겨울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했다. 이틀 먼저 한국에 온 미국 대표단의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도 문재인 대통령과 나란히 자리를 잡았다. 다음 겨울올림픽 개최국인 중국 대표단의 류옌둥 부총리도 함께했다. 과거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의 핵심 당사국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만으로도 폐막식의 상징적 의미는 크다. ‘평창’이 만들어낸 이 만남의 기조를 계속 살려나가야 한다.

문 대통령은 올림픽 폐막식을 앞두고 김영철 부위원장과 따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라도 북-미 대화가 조속히 열려야 한다고 밝혔고, 김 부위원장은 북-미 대화를 할 충분한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또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가 광범위하게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한 데 대해 김 부위원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같은 의지를 지니고 있다’고 화답했다. 북한이 우리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식을 보여주면서 북-미 대화에 적극적인 뜻이 있음을 밝힌 것은 주목할 만하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통일선전부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25일 오전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입경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폐막식과 관련해 가장 관심을 끈 것은 북-미 접촉 여부다. 북한 대표단 면면을 보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방남했음을 알 수 있다. 외무성 대미 외교 실무자인 최강일 부국장이 대표단에 합류했고 영어 통역사까지 대동했다. 미국 대표단에도 앨리슨 후커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이 포함됐다. 실무자 선에서라도 물밑 접촉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음을 보여준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평창 이후의 북-미 관계다. 물론 미국은 현재까지는 ‘최대의 압박’에 기울어져 있다. 24일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북한에 대한 대규모 추가제재를 발표했다. 그러나 북-미 간 협상 가능성이 있음은 여기저기서 확인된다. 김영철 부위원장의 발언도 그렇거니와,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추가제재를 발표함과 동시에 북-미 협상에 대한 기대를 표시한 것이 그런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어 달 전만 해도 한반도 긴장은 최고조에 달해 있었다.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하여 상황이 일거에 대화 분위기로 역전됐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파견돼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하고 남북관계 복원의 길을 열었다.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고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해결하려면 남과 북, 미국 모두 평창이 준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대화의 통로를 뚫어야 한다. 여전히 북-미 간에는 불신의 골이 깊다. 일시적으로 조성된 긴장 완화 국면이 언제든 대결 국면으로 돌아가버릴 수 있다. 우리 정부는 북·미의 만남과 대화를 위한 중재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함과 동시에 남북관계 복원과 진전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김여정 특사에 대한 화답으로 대북 특사를 파견하는 것도 고려해봄직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