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5.23 15:56
수정 : 2018.05.23 21:32
|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
김성태 “국회 운영위 소집해 대통령에 드루킹 보고 과정 따질 것”
|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
국회 운영위원장직을 맡고 있는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 비서관과 임종석 비서실장 등을 불러 ‘드루킹’ 관련 사실이 대통령에게 보고된 과정을 따져묻겠다고 밝혔다. 이에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특검을 갖고, 선거를 앞둔 정치적 장사는 그만하라”며 맞섰다.
김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열린 자유한국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송인배 비서관, 민정수석실 백원우 비서관, 청와대 비서관을 총괄하는 임종석 비서실장을 국회로 불러 송 비서관이 (드루킹과) 연루된 사실이 대통령에게 정확히 보고됐는지 묻겠다”고 말했다. 최근 송 비서관은 ‘드루킹’ 김아무개씨를 포함한 경공모(경제적공진화모임) 회원들과 간담회 등을 통해 만났으며 100만원의 사례비를 받았다는 사실이 보도된 바 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이 과정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파악하고 문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으나, 보도가 나온 뒤인 21일 보고했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문고리’인 송인배가 연루된 마당에 대통령에게 보고도 하지 않았다는 청와대, 수사하고도 실세가 연루된 줄 몰랐다는 경찰이나, 손바닥을 하늘로 가리려 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드루킹 특검’은 대통령의 측근을 비롯한 그 어느 누구도 수사 대상에서 예외 없다는 점 분명 밝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홍영표 원내대표는 “선거를 앞두고 유력한 후보를 흠집내는 것은 그만 해야한다”이라며 김 원내대표의 국회 운영위 소집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특검할 사안이 아님에도 국회를 파행시키면서 고집을 부려 했으면, 이제 특검하도록 기다려야 한다”면서 “(송 비서관이) 선거 전 자연인일 때 일을 가지고, 나온 것은 그게 다인데도 (운영위 소집하겠다는 것은) 선거 앞둔 정치적 장사”라고 말했다.
국회의 운영을 감시하는 동시에 청와대까지 관할하는 상임위인 운영위원회는 민감한 현안을 다루다 보니 여야 간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잦다. 김성태 운영위원장은 지난 2월23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방한을 계기로 ‘긴급 현안질의’를 위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청와대 관계자 출석을 요구했다. 임 비서실장이 21일 국회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난 뒤 이틀만이었다. (
▶관련 기사 보기 : 김성태 “여기는 국회다!”…임종석 비서실장에 ‘기립’ 요구 ) ‘긴급현안질의’에 따른 임 비서실장 소집은 운영위 간사 합의에 따른 것은 아니었다. 운영위의 안건 등은 여야 간사가 합의하게 돼 있다. 김 운영위원장은 임 실장의 불출석을 이유로 24일과 27일 운영위원회 소집·정회를 반복하다 민주당과 충돌하기도 했다. (
▶관련 기사 보기 : “국정농단도 모자라 국회 농단하냐” 고성 오간 운영위 )
운영위원회의 위원장직은 집권여당의 원내대표가 맡는 것이 관례이지만, 현재 자유한국당의 김 원내대표가 맡고 있다. 운영위원장의 임기는 2년인데, 2016년 총선 뒤 원구성 협상 때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이 운영위원장 직을 맡은 까닭이다.
(
▶관련기사 보기 :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의 승자는? )
탄핵과 정권 교체 뒤 1년여 위원장 임기가 남은 상황에서 이 ‘관례’를 놓고 여야 갈등을 빚었으나(
▶관련기사 보기 : 국회 운영위원장 자리 놓고 여야 충돌), 김성태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장직을 이어받는 것으로 매듭지어졌다. 김 위원장의 임기는 오는 6월 예상되는 원구성 재협상 이전까지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