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7.15 16:25
수정 : 2019.07.22 02:29
|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 <주전장>의 한 장면. 시네마달 제공
|
일본 우익 주장-재반박 담은 치열한 논리싸움
일본계 미국인 미키 데자키 감독, 다큐로 담아
미국으로까지 전장 확대하는 일본 우익도 조명
감독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일본 경제보복 유감”
|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 <주전장>의 한 장면. 시네마달 제공
|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놓고 벌어지는 총성 없는 전쟁의 주전장(主戰場)은 어디인가?’
다큐멘터리 영화 <주전장>(25일 개봉)은 위안부 문제를 다룬 그간의 영화들과는 궤를 달리한다. 영화를 만든 이는 일본계 미국인 미키 데자키(36) 감독으로, 그는 위안부를 지원하는 단체나 교수들뿐 아니라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일본 극우파(역사 수정주의자) 등 30여명을 인터뷰했다. 영화는 이들이 서로의 주장을 반박-재반박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위안부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제목 그대로 ‘전장’을 방불케 하는 치열한 논리 싸움이 물고 물리며 진행되는 셈이다.
광복절을 앞둔 데다 최근 아베 정부가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경제보복조치를 단행한 뒤 반일감정이 고조된 가운데 개봉하는 이 작품이 국내 관객에게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관심이 쏠린다.
|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 <주전장>의 한 장면. 시네마달 제공
|
15일 내한한 미키 데자키 감독은 “아베 총리가 이슈를 만들어 줘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에 감사를 전한다. 일본 우익들이 이 영화를 보지 말라고 발언한 것도 홍보에 큰 도움이 됐다”고 너스레를 떨며 웃었다. 이어 “한·일 간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정보의 격차가 심하고 이것이 종종 싸움으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쟁점들을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다큐가 필요하다고 느꼈다”고 영화를 만들게 된 계기를 밝혔다.
|
영화 <주전장>을 연출한 미키 데자키 감독이 15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감독의 말처럼 영화는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을 내세워 이들의 역사 왜곡을 비판하는 대신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일본 우익들이 근거로 내세운 문서와 언론보도 등을 치밀하게 추적해 조목조목 반박한다. 위안부 강제연행의 진실, 이들에 대한 인신구속과 성노예화 여부를 비롯해 20만명으로 추산하는 위안부 숫자의 부정확성 등 다소 민감한 부분까지 짚어낸다.
“당시 미군 부대가 위안부를 취재했던 주요 문서를 보면, 그들은 그저 매춘부에 불과했고 보수도 상당히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이 멍청한 문제에 과도한 관심을 가지는 거죠? 역시 ‘포르노’같은 매력을 느끼는 것 아닐까요?” 일본 우익 대표 논객 사쿠라이 요시코, 자민당 의원 스기타 미오, 친일 미국인 켄트 길버트 변호사, 일본 최대 우익단체 ‘일본회의’의 가세 히데아키까지…. 감독은 일본 우익들이 쏟아내는 ‘망언’을 이보다 더 명쾌할 수 없을 만큼 논리적으로 반증해 나간다.
|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 <주전장>의 한 장면. 시네마달 제공
|
일본계 미국인 2세로 지난 2007년부터 5년 동안 일본에서 영어교사로 일한 감독은 ‘일본의 인종차별’에 관한 유튜브 동영상을 올렸다가 우익의 공격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처음 보도한 우에무라 다카시 전 아사히 신문 기자도 유사한 공격을 받았음을 알게 됐다. “일본 우익은 ‘위안부 문제’에 왜 이렇게 민감해 할까?” 영화의 시작인 이 의문은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이 됐다.
“국가는 절대 틀릴 수 없고, 절대 사죄하지 않는다”는 일본 우익의 사상에 대해 나카노 고이치 교수나 고바야시 세츠 교수 등 영화 속 일본 지식인들은 “여전히 에이(A)급 전범들의 위령을 신으로 안치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천황 중심의 종교 ‘신토’ 숭배와 전쟁 전 ‘메이지 헌법’으로 돌아가려는 뿌리 깊은 열망에 근거한다”고 짚는다. 그 중심엔 일본 극우세력의 본산인 일본회의가 있고, 아베 정부 각료 85%가 일본회의 의원연맹에 소속돼 있다. 아베 총리의 외조부가 진주만 공격을 감행한 도조 히데키 내각의 각료이자 A급 전범이었던 기시 노부스케임을 상기하면 뿌리 깊은 일본 우익의 역사지도가 그려진다.
이들의 영향력은 ‘교과서 문제’로도 연결된다. 지난 1993년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고노 담화’ 이후 97년 일본의 모든 중학교 교과서가 위안부 문제를 다뤘지만, 2012년 교과서에선 완전히 사라진 것은 일본회의가 지원하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활동 때문이다.
일본 우익은 ‘주전장’을 미국으로 확대하고 있다. 영화는 지난 2013년 7월30일 국외 최초로 소녀상이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에서 당시 약 100명의 일본인이 소녀상 건립을 반대하는 청문회를 열어 격렬하게 반대했던 모습을 비춘다. 일본 우익은 미국인 유튜버를 지원하거나 미국인 기자를 매수하는 방법으로 미국 내 여론을 바꾸려 한다.
|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 <주전장>의 한 장면. 시네마달 제공
|
감독은 미국 정부의 책임도 거론한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한 방편으로 동북아 최우선 우방국인 한국과 일본의 졸속 화해를 지속해서 압박했다”는 것이다. 지난 1965년 한일수교와 박근혜 정부의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이 놀랍도록 유사한 것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정의보다 자국의 이익을 우선한 미국의 입김 때문”이다.
지난 4월 일본에서 먼저 개봉한 이 영화는 우익의 반발 기자회견 등으로 화제를 모으며 독립영화로는 드물게 3만명 이상을 동원했다. “위안부 문제를 인종차별, 성차별, 파시즘과 맞서 싸우는 것”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한 데자키 감독은 “일본 정부가 최근 강제징용 판결에 관해 경제보복으로 대응한 점은 매우 유감이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늘 그래왔다. 두 문제는 모두 ‘인권’의 문제로 바라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일본 정부와 일본인의 생각이 같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 영화를 통해 한·일이 서로 잘 몰랐던 정보를 알게 되면 증오가 줄어들고 생산적 토론과 논쟁을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