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8.12 14:16
수정 : 2019.08.12 20:53
|
이홍구 전 국무총리(앞줄 왼쪽 둘째)가 12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동아시아평화회의 주최로 열린 ‘한일관계의 위기를 넘어 동아시아평화로 : 레이와(令和) 시대·도쿄올림픽을 적대 아닌 평화로’라는 주제의 8·15 74주년 특별성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
12일 동아시아평화회의 ‘8·15 74주년 특별성명’ 발표
|
이홍구 전 국무총리(앞줄 왼쪽 둘째)가 12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동아시아평화회의 주최로 열린 ‘한일관계의 위기를 넘어 동아시아평화로 : 레이와(令和) 시대·도쿄올림픽을 적대 아닌 평화로’라는 주제의 8·15 74주년 특별성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
진보와 보수 원로들이 오는 15일 광복절 74주년을 앞두고 “한-일 두 나라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의 정신과 해법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김원기 전 국회의장, 김희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등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각계 원로 80여명으로 구성된 ‘동아시아평화회의’는 12일 오전 11시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한-일관계의 위기를 넘어 동아시아의 평화로!’라는 제목의 8·15 74주년 특별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올해 한국과 일본은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 이후 사실상 최악의 관계를 맞고 있다”며 “아베 일본 정부가 주도한 한국에 대한 무역보복과 평화헌법 폐기노력, 그리고 재무장 공언으로 동아시아평화는 지금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들은 이어 ?“일본 정부는 한국인들에게 가한 고통과 비극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과의 자세를, 한국 정부는 일본인들의 전후 경제발전과 동아시아평화 기여에 대한 인정과 화해의 마음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한-일 두 나라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의 정신과 해법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 간 나오토 총리 담화 등 상호 인정과 존중 속에 미래의 공동 번영과 협력을 위해 과거를 직시하며 미래를 응시한 과거 정부들의 자세로 돌아가자”고 일본 정부에 제안했다. 또한 “일본이 전후 아시아와 세계의 신뢰를 얻고 평화증진에 기여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평화헌법과 비핵 3원칙에 있었다”며 “한-일 평화와 동아시아평화를 위해 일본 정부는 평화헌법을 개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1998년 10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일본 총리가 서명한 ‘한-일 관계선언-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일컫는다. 오부치 전 총리는 당시 “일본이 과거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커다란 피해와 고통을 안겨준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의 사죄”한다는 표현을 쓰면서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과했고, 김 전 대통령은 일본 대중문화 개방 추진 등을 시사하는 것으로 화답했다.
이들은 “100년 전 안중근 선생의 동양평화론과 ‘3·1운동 선언서’의 말처럼 한반도 평화 없이는 동아시아평화도 없고, 동아시아평화 없이는 한반도 평화도 없으므로 한반도와 동아시아평화를 위한 한-일의 경제협력이 약화돼서는 안 된다”며 “그동안 한-일 양 국민이 자유, 보편적 인권, 선린관계를 향한 노력으로 세계 속에서도 재평가할 만한 우호 관계를 축적해 온 것을 양국 정부가 퇴행시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한국은 북핵 위기를 아직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분단국가”라며 “한-일평화를 바탕으로 남북평화를 발전시키고, 또 남북평화의 효과로 동아시아평화를 발전시키는 선순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내년 2020년은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의 해이자 도쿄올림픽의 해로, 한반도 평화와 한-일 평화가 함께 증진되어 도쿄올림픽이 세계인의 평화축제가 되길 소망한다”며 “한-일 정부 모두 향후 갈등을 확대하는 자세를 극도로 자제하고,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치 철회, 한-일 정부의 직접대화 즉각 재개 등으로 현재의 위기를 해결해나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