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0.04 06:00
수정 : 2019.10.04 20:42
[책&생각] 이현우의 언어의 경계에서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열린책들(2009)
작가 연보와 프로필 사진만 보면 어머니와 아버지를 차례로 여의고 신경쇠약으로 평생 고통받았던 여성작가를 떠올리기 쉽다. 버지니아 울프 얘기다. <자기만의 방>(1929) 강연을 통해 여성작가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예리한 성찰을 제출한 페미니즘 비평의 선구자가 또한 울프다. 울프 문학의 핵심은 무엇이고 성취는 무엇일까. 영국 문학기행 차 런던에 와서 런던 거리를 산책하길 즐겼던 울프를 생각하며 던지는 질문이다.
런던 거리의 풍경을 직접 담고 있는 소설이 대표작 <댈러웨이 부인>(1925)이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1922)와 함께 ‘의식의 흐름'이라는 새로운 서술기법을 발전시킨 소설로 유명하다. 하지만 울프는 <율리시스>에 대해서 상스러운 작품이라며 불편해했으니 같은 부류의 작품으로 분류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겠다(댈러웨이 부인이 몰리 블룸과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상상하기 어렵다). 울프가 서술기법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댈러웨이 부인>을 표본으로 삼아 말하자면 삶에 대한 긍정과 예찬으로 보인다. <율리시스>의 몰리 역시 긍정의 아이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삶에 대한 '고상한' 긍정이라고 해야 할까.
|
버지니아 울프. 출처 위키미디어 코먼스
|
제1차 세계대전의 상흔이 아직 다 가시지 않은 1920년대 초반 런던 상류사회의 일원으로 댈러웨이는 영국 총리도 참석하는 파티를 준비하기 위해 아침부터 분주하다. 꽃을 사러 나선 길에 그녀는 상쾌한 아침 공기를 들이키며 곧바로 열여덟 살의 처녀 시절을 떠올린다. 아침마다 창문을 열어젖히면 마치 대기 속으로 뛰어드는 것만 같은 느낌이 들던 때였다. 당시 사랑했지만 결혼 상대로는 맞지 않는다는 판단에 헤어진 피터 월시가 돌아온다는 사실도 연이어 상기하는데 마침 이날 피터는 댈러웨이를 찾는다. 삼십 년의 시간적 간격이 놓여 있지만 댈러웨이는 그에게서 여전한 매력과 함께 거부감을 느낀다.
그렇게 늙은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댈러웨이는 만으로 쉰둘의 나이에 접어들었다. 한 차례 독감도 앓고 난 뒤라 기력도 떨어진 상태다. 그럼에도 댈러웨이는 모든 역경을 이겨내는 회복력을 보여준다. 화장대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댈러웨이의 모습이 시사적인데, 비록 세월을 비껴갈 수는 없었지만, 그녀는 입술을 오므리면서 여전히 자기 삶의 구심점을 되찾는다. “본연의 자기 자신이 되고자 하는 부름”에 그녀는 기꺼이 응한다. 그녀는 자기 자신의 중심이면서 동시에 그녀를 둘러싼 사교계의 중심이었다. 그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환기해주는 것이 바로 파티다. 옛 애인 피터나 남편 리처드가 모두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댈러웨이에게 파티가 갖는 의미였다.
댈러웨이에게 파티는 삶 자체다. 그리고 삶이란 사람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다. 그녀에게 파티는 “하나의 봉헌”이고 “조합하고 창조하는 것”이다.
댈러웨이에게 파티가 갖는 의미는 곧 작가 울프에게 창작이 갖는 의미와 동일해 보인다. 그것은 봉헌이면서 긍정이다. 작품에서 그러한 봉헌에 가장 큰 도전으로 등장하는 것은 전쟁 후유증으로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결국 투신자살하는 셉티머스다. 댈러웨이는 셉티머스와 한 번도 마주치지 않지만, 그의 자살소식이 불청객처럼 파티장에 끼어든다. 댈러웨이는 파티 한복판에 끼어든 죽음, 다르게 말하면 삶의 한복판에 끼어든 죽음을 유감스러워하지만 공감의 능력과 회복력을 통해서 극복해낸다. 비록 젊은이의 죽음은 안타깝지만, 삶이 계속되어야 하듯 파티도 계속되어야 한다. 결국 소설은 댈러웨이의 건재를 과시하면서 마무리되는데 클라리사의 연인이었던 피터는 노년의 댈러웨이에게서도 여전히 클라리사의 매혹을 느낀다. “거기 그녀가 와 있었다”는 마지막 문장은 삶에 대한 울프의 당당한 긍정으로 읽을 수밖에 없다.
서평가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