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소위 ‘조국 사태’ 이후 20대 청년세대의 박탈감과 분노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일부 명문대생들은 공정과 정의를 내세우며 촛불을 들었다. 보수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세대갈등 프레임을 들고나왔다. 민주화의 과실을 독차지하려는 기득권 86세대와, 그에 맞서 분노하는 20대 간의 대결이라는 구도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 명문대생들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그들이 든 촛불은 박탈감에 기반한 촛불이 아니라 자기 스펙의 진실성을 선언하는, “자신들의 성채를 공고히 하려는 촛불”이라는 고발들이다. 20대가 느끼는 박탈감의 실체를 고민하던 중 흥미로운 데이터를 찾았다. 2018년 1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했던 온라인 조사 결과다. 한해가 지난 데이터지만 현재적 의미가 작지 않아 보인다. 먼저 ‘우리 세대는 사회경제적으로 다른 세대에 비해 더 많은 기회와 혜택을 누렸다’는 질문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청년세대가 가장 부정적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50대(38.3%)와 함께 20대(37.5%)의 동의가 가장 높았다. 동의가 가장 낮은 연령층은 30대(31.6%)였다. 세대 내의 차이는 어떨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계층별로 구분해 보면 20대의 동의 정도가 이렇게 높은 이유가 드러난다. 부유한 집 출신 20대의 56.3%가 동의해 가난한 집 출신(28.6%)에 견줘 동의 정도가 갑절 높았다. 이들 부유한 부모를 둔 20대는 ‘자신의 세대가 더 많은 기회와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자의식이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심지어 보수언론이 곧잘 ‘사회경제적 기회를 독점한’ 특권 집단으로 공격하는 부유한 50대(46.7%)보다도 훨씬 높았다. 물론 이들이 느끼는 기회와 혜택에는 기술발전과 민주주의, 글로벌화 등 시대적 변화에 따라 윗세대가 누리지 못했던 것을 누리고 있다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정치에 대한 이해와 관심, 정치적 효능감에 대한 인식에서도 부유한 20대와 가난한 20대 사이의 차이는 작지 않았다. ‘나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정치 문제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질문에 부유한 20대들은 72.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가난한 20대는 64.3%에 그쳤다. ‘정치가 바뀌면 나의 삶도 바뀔 수 있다’는 질문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커져서 각각 81.3%, 62.5%로 나타났다. 부유한 20대는 희망이 넘친다. 10명 중 9명꼴인 89.6%가 미래를 희망적으로 인식했다.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다. 반면 가난한 20대는 단지 32.1%만 미래를 희망적으로 인식했다. 부유한 20대 10명 중 9명이 희망에 들떠 있을 때, 가난한 20대 10명 중 단지 3명만이 희망의 지푸라기를 잡고 있다. 부유한 20대들은 경쟁도 마다하지 않는다. ‘연대와 협력이 우선시되는 사회’와 ‘경쟁과 자율이 우선시되는 사회’ 중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라는 질문에 부유한 20대의 50%가 경쟁과 자율이 우선시되는 사회를 선택했다.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다. 이들은 경쟁에 자신이 넘친다. ‘조국 논란’에서 명문대생들의 자존감이 훼손되고 분노하는 이유와 겹친다. 이것이 지금 대한민국 20대의 현주소다. 20대는 가장 분열된 세대다. 상층의 일부가 단군 이래 가장 희망과 경쟁 의욕에 가득 찬 세대라면, 그 아래 다수는 20세기 이래 처음으로 부모세대보다 가난해지리라는 불안에 사로잡힌 세대다. 생물학적으로는 같은 세대지만 사회적으로는 같은 집단이 아니다. 이들은 운명을 공유하지 않는다. 세대론의 설명력이 무너지는 지점이다. 20대의 분열을 내세워 특권화된 86세대에 대한 비판을 흐리려는 것이 아니다. 세습자본주의가 심화되면서 부와 교육의 기회가 갈수록 얽혀가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명문대가 고소득층 자녀로 채워지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입시 자체가 불평등의 재생산장치가 된 사회에서 촛불을 든 명문대생들이 토로하는 ‘박탈감’을 20대 전체의 박탈감과 같은 자리에 놓을 수 있을까? 무엇보다 ‘조국 논란’에 낄 관심도 여력도 없는, 수많은 울타리 밖 20대 청년층이 던지는 질문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다. 촛불조차 들지 못한 청년들의 낮은 웅얼거림에, 가냘픈 신음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hgy4215@hani.co.kr
칼럼 |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소위 ‘조국 사태’ 이후 20대 청년세대의 박탈감과 분노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일부 명문대생들은 공정과 정의를 내세우며 촛불을 들었다. 보수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세대갈등 프레임을 들고나왔다. 민주화의 과실을 독차지하려는 기득권 86세대와, 그에 맞서 분노하는 20대 간의 대결이라는 구도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 명문대생들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그들이 든 촛불은 박탈감에 기반한 촛불이 아니라 자기 스펙의 진실성을 선언하는, “자신들의 성채를 공고히 하려는 촛불”이라는 고발들이다. 20대가 느끼는 박탈감의 실체를 고민하던 중 흥미로운 데이터를 찾았다. 2018년 1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했던 온라인 조사 결과다. 한해가 지난 데이터지만 현재적 의미가 작지 않아 보인다. 먼저 ‘우리 세대는 사회경제적으로 다른 세대에 비해 더 많은 기회와 혜택을 누렸다’는 질문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청년세대가 가장 부정적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50대(38.3%)와 함께 20대(37.5%)의 동의가 가장 높았다. 동의가 가장 낮은 연령층은 30대(31.6%)였다. 세대 내의 차이는 어떨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계층별로 구분해 보면 20대의 동의 정도가 이렇게 높은 이유가 드러난다. 부유한 집 출신 20대의 56.3%가 동의해 가난한 집 출신(28.6%)에 견줘 동의 정도가 갑절 높았다. 이들 부유한 부모를 둔 20대는 ‘자신의 세대가 더 많은 기회와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자의식이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심지어 보수언론이 곧잘 ‘사회경제적 기회를 독점한’ 특권 집단으로 공격하는 부유한 50대(46.7%)보다도 훨씬 높았다. 물론 이들이 느끼는 기회와 혜택에는 기술발전과 민주주의, 글로벌화 등 시대적 변화에 따라 윗세대가 누리지 못했던 것을 누리고 있다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정치에 대한 이해와 관심, 정치적 효능감에 대한 인식에서도 부유한 20대와 가난한 20대 사이의 차이는 작지 않았다. ‘나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정치 문제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질문에 부유한 20대들은 72.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가난한 20대는 64.3%에 그쳤다. ‘정치가 바뀌면 나의 삶도 바뀔 수 있다’는 질문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커져서 각각 81.3%, 62.5%로 나타났다. 부유한 20대는 희망이 넘친다. 10명 중 9명꼴인 89.6%가 미래를 희망적으로 인식했다.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다. 반면 가난한 20대는 단지 32.1%만 미래를 희망적으로 인식했다. 부유한 20대 10명 중 9명이 희망에 들떠 있을 때, 가난한 20대 10명 중 단지 3명만이 희망의 지푸라기를 잡고 있다. 부유한 20대들은 경쟁도 마다하지 않는다. ‘연대와 협력이 우선시되는 사회’와 ‘경쟁과 자율이 우선시되는 사회’ 중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라는 질문에 부유한 20대의 50%가 경쟁과 자율이 우선시되는 사회를 선택했다. 모든 집단을 통틀어 가장 높다. 이들은 경쟁에 자신이 넘친다. ‘조국 논란’에서 명문대생들의 자존감이 훼손되고 분노하는 이유와 겹친다. 이것이 지금 대한민국 20대의 현주소다. 20대는 가장 분열된 세대다. 상층의 일부가 단군 이래 가장 희망과 경쟁 의욕에 가득 찬 세대라면, 그 아래 다수는 20세기 이래 처음으로 부모세대보다 가난해지리라는 불안에 사로잡힌 세대다. 생물학적으로는 같은 세대지만 사회적으로는 같은 집단이 아니다. 이들은 운명을 공유하지 않는다. 세대론의 설명력이 무너지는 지점이다. 20대의 분열을 내세워 특권화된 86세대에 대한 비판을 흐리려는 것이 아니다. 세습자본주의가 심화되면서 부와 교육의 기회가 갈수록 얽혀가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명문대가 고소득층 자녀로 채워지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입시 자체가 불평등의 재생산장치가 된 사회에서 촛불을 든 명문대생들이 토로하는 ‘박탈감’을 20대 전체의 박탈감과 같은 자리에 놓을 수 있을까? 무엇보다 ‘조국 논란’에 낄 관심도 여력도 없는, 수많은 울타리 밖 20대 청년층이 던지는 질문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다. 촛불조차 들지 못한 청년들의 낮은 웅얼거림에, 가냘픈 신음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hgy4215@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