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전쟁’이 시작될 기미다. 이런 표현 싫어하지만, 사실이다. 11일 교육부가 국가교육회의에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을 넘기면, 수능 절대평가 범위와 학종(학생부종합전형) 재편 등 온갖 입시제도 쟁점이 ‘판도라의 상자’처럼 튀어나올 것이다. 지난해엔 1년 유예라도 했지 이번엔 그러기도 어렵다. 최종 결정은 8월이지만, 지방선거를 끼고 교육 당사자와 관계자는 물론 정치권까지 가세해 사생결단식 힘겨루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 차관의 전화 사건 파장은 그 전조였다. 시기와 방식의 부적절함은 두말할 나위 없지만 몇몇 대학의 학종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사실은 분명하다. 올해 고3의 경우 전국 4년제 대학의 학종 비중은 24.3%인데 상위권 10개 대학은 47.9%다. 정시를 늘린다 해도 매해 수시 미달을 정시로 넘겼던 규모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논란이 더욱 커진 건, 이 사안이 장기적 대입개편의 전초전으로 받아들여지며 ‘수능 대 학종’이란 프레임으로 변질됐기 때문이다. 사법시험 존치 모임이던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학종 아웃, 정시 확대, 수능최저 유지의 선봉에 섰다.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은 교육부와 학종 폐지를 제안한 더불어민주당 더미래연구소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청와대 앞에서 열었다.
칼럼 |
[아침햇발] 대입개편 ‘폭풍전야’에 / 김영희 |
논설위원 ‘전쟁’이 시작될 기미다. 이런 표현 싫어하지만, 사실이다. 11일 교육부가 국가교육회의에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을 넘기면, 수능 절대평가 범위와 학종(학생부종합전형) 재편 등 온갖 입시제도 쟁점이 ‘판도라의 상자’처럼 튀어나올 것이다. 지난해엔 1년 유예라도 했지 이번엔 그러기도 어렵다. 최종 결정은 8월이지만, 지방선거를 끼고 교육 당사자와 관계자는 물론 정치권까지 가세해 사생결단식 힘겨루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 차관의 전화 사건 파장은 그 전조였다. 시기와 방식의 부적절함은 두말할 나위 없지만 몇몇 대학의 학종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사실은 분명하다. 올해 고3의 경우 전국 4년제 대학의 학종 비중은 24.3%인데 상위권 10개 대학은 47.9%다. 정시를 늘린다 해도 매해 수시 미달을 정시로 넘겼던 규모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논란이 더욱 커진 건, 이 사안이 장기적 대입개편의 전초전으로 받아들여지며 ‘수능 대 학종’이란 프레임으로 변질됐기 때문이다. 사법시험 존치 모임이던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학종 아웃, 정시 확대, 수능최저 유지의 선봉에 섰다.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은 교육부와 학종 폐지를 제안한 더불어민주당 더미래연구소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청와대 앞에서 열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