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2 18:53 수정 : 2006.12.22 23:45

이제훈 기자

4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에 참석한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같은 회의에 참석한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를 만나려 했다. ‘방코 델타 아시아’(BDA) 문제를 해결하고 6자 회담을 재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힐 차관보가 김 부상을 만났다면 6자 회담은 열렸을지 모른다. 그러나 힐 차관보는 한국 쪽의 설득과 중국의 중재에도 한사코 거부했다. 만나지 말라는 본국의 훈령 탓이었다. 북한이 6월1일 힐 차관보의 공식 방북을 요청했으나, 힐은 역시 꼼짝달싹 못했다. 미국은 묵살하고 퇴짜를 놨다. 북한 안의 외교파 입지는 그렇게 약화됐다.

그 뒤는 다 아는 일이다. 북한은 7월5일 대포동2 미사일을 쐈고, 10월9일엔 핵실험을 했다. 한반도의 위기지수는 가파르게 올라갔다.

중간선거 패배 뒤 미국 정부는 여전히 제재의 칼을 휘두르면서도 외교로 돌아왔다. 힐 차관보는 지난달 말 베이징 협의 때 김 부상한테 ‘비핵화 구상’을 공식 설명했다. 이번 5차 6자 회담 2단계 회의에서도 김 부상과 적어도 여섯 차례 이상 따로 만났다. 비디에이 양자협의도 했다. ‘좋은 일’은 여기까지였다. 김 부상은 “미국의 태도가 달라졌다”며 흡족해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금융제재 해제 먼저’만을 앵무새처럼 되뇌었다. 선결조건을 내세우는 건 호혜적 협상 자세는 아니다. 미국의 달라진 태도와도 대비된다. 힐 차관보는 김 부상이 재량권이 있는지 궁금해했다. 다른 참가국들도 마찬가지였다. 현장의 분위기를 읽지 못하는 ‘평양’의 굳은 태도가 우려된다. 베이징/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현장에서]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