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7.04 21:01
수정 : 2011.07.04 21:06
|
정대하 기자
|
[현장에서]
다리 옆 강바닥을 파헤치면 다리를 떠받치는 다릿발(교각)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영산강 상류 광주광역시 북구 용두교의 교각 하부 철근 더미가 훤히 드러난 것을 보고 놀란 것은 올해 봄이다. 이곳 영산강 7공구는 강폭을 넓히는 정비 공사만 하는데도, 교각 아래 일부가 물에 떠 있는 듯 위태로웠다. 대규모 준설을 하는 4대강의 다른 다리는 안전할까?
5월 하순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와 전남도 등에 교각 보강공사 현황 자료를 요청했다. 하지만 국토부 산하 익산지방국토관리청도, 전남도도 영산강에서 교각 보강을 하는 다리가 어디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부의 4대강 사업 주관 부서인 국토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도 정확한 실태를 말하지 못했다. 4대강추진본부 공무원의 목소리엔 ‘별걱정을 다한다’는 기색이 역력했다.
지난달 25일 경북 칠곡군 낙동강 왜관철교(호국의 다리)가 교각이 무너지며 끊어졌다. 이틀 뒤 국토부에 4대강 교각 보강공사 자료를 재차 요구했다. 국토부는 그제서야 4대강의 교각보호공 설치 대상 다리 131곳 가운데 6월 말까지 100곳의 보강공사를 끝낼 계획
(<한겨레> 7월2일치 기사 보기)이라는 자료를 내놓았다. 그러나 교각보호공 보강공사가 끝나지 않은 한강 9개 다리, 낙동강 22개 다리의 이름은 끝내 밝히지 않았다.
4대강 물줄기를 크게 뒤흔든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이면서, 교각 보강 현황조차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 정부당국의 ‘안전 불감증’에 아연해진다. 대형 보를 16개나 조성하고 엄청난 흙·모래를 퍼낸 터라 4대강의 유량·유속은 이전과는 판이하게 달라졌고, 몇십년 축적해온 홍수 자료 등을 활용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국토부는 시공업체의 설계 도면만 믿지 말고 지금이라도 교각 보강공사를 제대로 했는지 꼼꼼히 점검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 다리 안전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가 아닌가?
광주/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