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5주기를 하루 앞둔 25일 낮 경기도 평택시 해군 2함대에서 천안함 전시시설을 찾은 장병들이 두 동강 난 당시 모습 그대로 전시되어 있는 선체를 둘러보고 있다. 평택/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현장에서
천안함의 비극과 의혹은 현재 진행형이다. 2010년 3월26일 밤 9시22분께 키리졸브-독수리 한미 합동군사연습이 한창인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해군의 초계함인 ‘PCC-772 천안’이 침몰했다. 해군 장병 40명이 숨졌고 6명이 실종됐다. 비극은 46명에 그치지 않았다. 아마도 천안함 사건의 최대 희생자는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일 것이다. 천안함은 그해 11월 연평도 포격으로 이어졌으며 지금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논쟁도 궁극적으론 남북 군사적 대결의 산물이다. 남북의 군사적 대립이 완화되지 않고 서해가 긴장의 바다, 냉전의 바다로 남아 있는 한 제2, 제3의 연평도 포격, 천안함과 같은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개성공단은 또다시 위태롭고, 남북 교류 협력은 겨우 명맥을 유지해온 인도적 지원마저도 끊긴 빈사상태다. 모두 천안함의 ‘덫’에 갇혀 있다. 국내 정치적으로 천안함의 또다른 희생자는 민주적 질서와 가치 그리고 그 핵심인 공정한 선거였다. 천안함 사건은 시민, 지식인, 정치인들의 의문 제기를 허위사실 유포를 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불온시했다. 민주당 추천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합조단) 위원이었던 신상철씨에 대한 명예훼손 재판은 5년째 계속되고 있다. 당시 천안함을 내세운 북풍으로 6·2 지방선거의 승리를 기대했던 이명박 정부는 역풍을 맞았다. 하지만 시대착오적인 ‘냉전수구세력들’은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공개하는 불법을 자행하면서 있지도 않은 ‘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을 조작해 2012년 대통령선거를 왜곡시켰다.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과 함께 또다른 북풍공작이 재현된 것이다. 이처럼 천안함의 비극은 우리 시대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들에 닿아 있다.
당시 윤덕용 천안함 침몰 사건 민·군 합동조사단 민간 쪽 공동단장(가운데)이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한 1차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당시 민·군 합동조사단 군쪽 공동단장인 박정이 합동참모본부 전력발전본부장.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