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국토교통부는 13일 ‘대한민국 도시대상’을 받은 14개 도시를 발표했다. 대통령상은 전남 순천, 국무총리상은 부산 기장, 국토부장관상은 강원 강릉, 서울 영등포, 서울 도봉, 충남 서산, 경기 성남, 경기 포천이 받았다. 이 8개 도시가 올해 한국에서 가장 살기 좋고 지속가능한 도시로 평가 받은 셈이다. 이 상은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도시 관련 상이다. 그런데 지난 8년 동안 매년 대통령·총리·장관상 등을 받은 도시가 쉴새없이 바뀌었다. 예를 들어 2014년 본상을 받은 도시가 11곳이었는데, 이 가운데 2015년에 다시 본상을 받은 도시는 3곳에 그친다. 살기 좋은 도시나 지속가능한 도시가 한해 만에 생기거나 없어지기 어려울 텐데, 매년 이런 식이었다. 심지어 2008년 이후 본상을 받은 도시는 모두 51개로 이 가운데 31개 도시는 단 한번씩만 상을 받고 사라졌다. 8년 동안 매년 본상(8~12개)을 계속 받은 도시는 한 곳도 없었고, 가장 본상을 많이 받은 도시는 순천으로 5회였다. 어이없는 것은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한번씩 받은 수원, 부천, 장성은 이 상을 빼고는 7년 동안 한번도 본상(10위권)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과연 이 도시들은 상을 받은 해만 살기 좋은 도시였고, 그 전후로는 살기 좋은 도시가 아니었던 걸까?
|
김규원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