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턴의 원저(왼쪽)와 한경BP의 번역본
|
현장에서
<한겨레>는 10월30일치 토요판 커버스토리에서 <한국경제>의 자회사 한경비피(BP)가 앵거스 디턴의 〈The Great Escape〉를 왜곡 번역했으며, 정규재 한국경제 주필과 현진권 자유경제원 원장이 지난 1년 동안 디턴의 이론에 대해 잘못된 주장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경제는 2일치 신문에서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을 저주하고 싶은 자들의 또다른 왜곡’이라는 긴 부제를 단 사설을 통해 반론을 폈다. 반론은 한겨레 기사에 대한 반박과 디턴의 핵심 이론에 대한 그들의 기존 해석의 재강조, 이렇게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됐다. 앞서 한겨레는 면밀한 검토 결과, 한경비피의 왜곡이 ‘책 제목→책 편성→장·절 제목→본문’의 차례로 체계적으로 이뤄졌을 뿐 아니라 디턴에 대한 그릇된 해석이 담긴 현진권 원장의 서문이 앞부분에 달렸으며, 이로 인해 디턴이 얘기하고자 했던 취지가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한국경제의 사설을 보면, 분명하게 드러난 왜곡의 실상을 축소하고 있다. 사설은 “서문과 도입글을 합쳐 중복되는 부분을 줄이거나 부제의 일부 표현을 바꾼 것”이라고 했지만, 이는 <한겨레>가 밝혀낸 왜곡상의 지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사설은 특히 책의 5장에서 행해진 왜곡에 대해 모른 체하고 있다. 이를테면 불평등의 심화에 대해 디턴이 우려를 표명한 대목을 빼버린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사설은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질과는 상관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원저자가 써놓은 내용을 출판사가 멋대로 바꾼 것이 독자를 위한 것이라는 주장에 공감할 독자가 과연 있을지 의문이다.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