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6.22 20:12 수정 : 2017.06.22 21:59

현장에서

지난 21일 질병관리본부는 결핵전문위원회를 열어 올해부터 시작하기로 했던 만 40살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잠복 결핵 검진을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잠복 결핵은 결핵을 일으키는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왔으나 아직 결핵을 일으키지는 않고 ‘잠복’하고 있는 상태다. 잠복 결핵이 있는 이들 10명 가운데 1명은 남은 생애 동안 실제 결핵에 걸려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나머지 9명은 아무런 문제 없이 살 수 있다. 게다가 잠복 결핵은 결핵의 가장 심각한 문제인 전파, 즉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3월 고등학교 1학년 학생과 만 40살을 대상으로 잠복 결핵 검진을 하겠다는 내용의 결핵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잠복 결핵을 진단하는 검사가 정확한 것은 아니라서 잠복 결핵이 아니어도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수 있으며, 잠복 결핵을 치료한다고 해도 10명 가운데 적게는 1명에서 많게는 4명까지 결핵이 발병할 수 있다는 문제([<한겨레> 2016년 3월28일치 12])를 제기했다. 잠복 결핵이 없는데도 있는 것으로 나와 불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심지어 치료의 효용성마저 의심된다는 말이다.

결핵을 치료하려면 한꺼번에 3~4가지 약을 적어도 6개월 동안 매일 먹어야 한다. 잠복결핵 치료는 이보다는 약 가짓수가 덜하고 치료 기간도 짧지만 갖가지 결핵 치료약의 부작용을 피해가기 쉽지 않다. 당시 질병관리본부는 부작용이 덜하면서 일주일에 한번만 먹으면 되는 신약을 들여올 예정이여서 결핵 치료약의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결핵전문위원회의 결정 내용을 보면, 신약의 치료 효과나 부작용은 검증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40살을 대상으로 한 잠복 결핵 검진을 취소한 것은, 당연한 결정이다. 더 나아가 고등학교 1학년를 대상으로 한 검진 역시 재고해야 한다. 검진보다는 결핵 전문가들의 지적대로 주된 결핵 발생층인 노인, 외국인 등에 대한 결핵 관리와 함께 여러 결핵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취약층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핵 신규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65살 이상 노인이고, 신규 결핵 환자의 7%는 외국인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불명예스럽게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결핵 발생률과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다. 보건당국은 결핵 치료 및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되 의학적인 근거가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현장에서]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