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6.19 15:35
수정 : 2018.06.19 20:40
[현장에서]
포스코 차기회장 선임작업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포스코 사외이사로
구성된 ‘승계카운슬’과 ‘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는 20일 5명 내외의 면접후보 선정을 시작으로 6월말까지 후보 면접, 이사회에 최종후보 추천이라는 바쁜 일정을 진행한다. 최종후보는 이사회 승인을 거쳐, 7월말 임시주총에서 차기회장에 선임된다.
포스코 차기회장 선정작업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지만, 회사 안팎에서는 진작부터 후보군에 대한 소문이 무성하다. 후보군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한 그룹은 5~6명의 포스코 전현직 사장 출신이다. 또 다른 그룹은 1~2명의 산업부 출신 등 외부 전문가들이다.
포스코 차기회장은 최고경영자에게 요구되는 경영역량 외에 두가지 핵심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첫째는 정치권의 외압 차단이다. 포스코는 정권 교체기마다 회장이 임기 중에 퇴진하고, 권력의 입맛에 맞는 차기 회장이 선임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됐다. 권력은 이를 통해 각종 이권을 챙겼고, 정권교체가 되면 이는 다시 회장 중도퇴진의 빌미가 됐다. 포스코 계열사의 한 대표는 “차기회장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빚이 없고 독립적인 사람이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다행히 여건은 좋다. 포스코의 한 사외이사는 “이번에는 과거와 달라 권력개입의 조짐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는 진작부터 민간기업의 인사에 일체 개입하지 않기로 했다. 포스코로서는 천금의 기회를 맞은 셈이다.
둘째는 포스코의 자정이다. 포스코는 1993년 김영삼 정부의 압력으로 박태준 회장이 물러난 것을 시작으로 25년간 권력개입의 악순환이 거듭되다보니 내부인사의 권력 줄대기, 이권 개입, 부정부패 등의 적폐가 켜켜이 쌓였다. 이런 적폐를 과감히 시정하려면 과거 정권과 유착됐거나, 각종 이권에 개입됐거나, 부정부패 전력이 있는 인물은 차기회장으로 부적합하다. 포스코 계열사의 대표는 “차기회장은 내부 이해관계로부터도 자유로워야 개혁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포스코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승계카운슬이 제시한 차기회장 선정기준은 글로벌 경영역량, 혁신역량, 핵심산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역량 등 경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치권 외압 차단, 내부 적폐청산 등과 같은 핵심과제에 대한 언급은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다. 외부간섭이 사라진 일종의 ‘힘의 공백’을 틈타서, 내부 기득권 세력이 담합을 통해 이권 나눠먹기를 시도한다는 걱정까지 제기된다. 후보군에 이름을 올린 한 외부인사는 “외부출신은 결국 들러리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포스코 차기회장 선임의 열쇠는 7명이 사외이사들이 쥐고 있다, 이들 상당수는 2009년 정준양 회장 선임과 2014년 권오준 회장 선임 당시 권력개입 의혹이 제기됐을 때도 사외이사였다. 그들로서는 이번이 권력개입 방조와 거수기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포스코 한 사외이사도 “부담이 엄청나게 크다”고 털어놨다. 사외이사들은 무엇보다 먼저 차기회장 선정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한다. 현재 검토 중인 후보 중에서 선정기준에 적합한 사람이 없으면 아예 처음부터 선정작업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낫다. 사외이사들은 차기회장이 제 역할을 못하면 공동책임을 진다는 비장한 각오를 해야 한다. 포스코가 성공한다면 비슷한 처지에 있는 케이티·케이티앤지 등 다른 ‘민영화 기업’에도 연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