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6.24 19:25 수정 : 2016.06.24 19:39

[토요판] 김선영의 드담드담
일본드라마 <마지막 거처>

한 노인이 자신의 집에서 사망한 채 발견된다. 노인에겐 가족이나 친지가 전혀 없었고 현관에는 신문 사흘치가 그대로 쌓여 있었다. 동네 주민들은 안타까움을 표하면서도 그리 놀랍지 않은 표정이다. “역시 고독사래” “불쌍하네요” 등 그들 사이 오가는 수다가 이미 일상화돼버린 비극을 말해준다.

일본 <엔에이치케이 비에스 프리미엄> 채널 드라마 <마지막 거처>는 독거노인, 무연고노인, 고독사 등 초고령사회의 어두운 그늘을 비추며 시작한다. 새로운 얘기는 아니다. 세계 최대 노인대국 일본에서는 이런 노인 문제를 다루는 드라마들이 어느덧 하나의 장르를 형성할 정도다. <마지막 거처>는 그중에서도 일본의 노인요양 서비스 제도인 개호보험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 아사쿠라 도모코(기리타니 미레이)는 이제 막 사회부에 입성한 신입기자로, 개호보험 관련 기획기사를 준비 중이다. 그녀의 관심은 특히 개호보험제도 내 재택간호 서비스에 있다. 과거, 힘든 병원생활에서 돌아온 할아버지가 “역시 집이 제일 좋다”고 미소 지었던 기억이 강렬하게 남아 있는 아사쿠라는 노인들이 정든 집과 지역에서 돌봄케어를 받는 재택간호의 장점을 알리고자 한다. 하지만 그 순진한 생각은 현장 취재 과정에서 냉정한 현실과 자꾸만 부딪친다. 설상가상으로 재택간호를 받던 노인들이 잇달아 사망하고, 연쇄살인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그녀는 더욱 혼란스러워진다.

<마지막 거처>는 일본 정부가 고령화사회를 앞둔 국가를 겨냥해 수출 성장 동력으로 내세울 만큼 자부심을 지닌 개호보험제도의 문제를 꽤 구체적으로 비판한다.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들, 돌봄이 제일 시급한 이들을 위해 마련했으나 시설 태부족으로 무한 대기해야 하는 ‘특별양호 노인홈’,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지쳐가는 간병도우미 등 개호 시스템의 구멍이 곳곳에서 지적받는다. 아사쿠라의 취재기가 날카로운 사회고발극이라면, 노인 연쇄살인이라는 스릴러 플롯은 현실의 공포를 가중시키는 효과적 장치다.

<마지막 거처>가 그리는 비극은 곧 우리가 당면하게 될 미래이기에 더욱 서늘하게 다가온다. 이미 고령화의 속도는 일본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2060년쯤이면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고령화율 1위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더 큰 문제는 일본보다 훨씬 열악한 노인복지 시스템이다. 노인빈곤율은 50퍼센트에 가깝고 노인 자살률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데, 정부는 노인의료비 지출 억제, 노인연령 상향 논의 등 복지 축소에 급급하다.

김선영 티브이 평론가
극 중 아사쿠라의 말처럼 “노인은 누구나 언젠가 직면하는” 모두의 현실이다. 제도는 언제나 현실보다 늦다. 노인 문제를 노인만의 문제로 보지 않는 공감대를 통해 제도 마련을 촉구할 필요가 있다.

김선영 티브이 평론가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토요판] 김선영의 드담드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