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2.01 18:57 수정 : 2015.02.01 18:57

해병대 저격수 출신 사진가 권철 씨.

[짬] ‘텟짱, 한센병 회복자’ 사진전 다큐작가 권철씨

해병대 저격수 출신 사진가 권철(48)씨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전시실에서 개인전 ‘텟짱, 한센병에 감사한 시인’을 열고 있다. 같은 이름의 포토에세이집은 지난해 연말에 나왔다. 권씨를 지난 31일 전시장에서 만났다.

그는 해병대 제대 뒤 1994년 홀연히 일본으로 건너갔다. 공학도였던 그는 88고속도로와 댐 등의 건설 현장으로 산업시찰을 다니던 86년 무렵 연일 쏟아지는 공사 관련 비리 보도를 보고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에 환멸을 느끼며 진로를 바꿨다. 그 뒤 20년 만인 지난해 4월5일, 우연히도 일본으로 떠난 날짜에 그는 가족과 한국으로 돌아왔다. 사진집으로 일본 최고 권위의 출판상도 받은 그가 귀국을 결심한 이유가 궁금했다.

1994년 일본 유학 히구치 교수 제자로
‘한센인 회복자’ 이자 시인 텟짱 기록
4년 전 떠난 텟장과 약속대로 전시회

2013년 일본 최고 권위 ‘고단샤 출판상’
‘조센진 비하’ 지난해 20년만에 귀국
출간할 ‘야스쿠니’ 사진집 국내외 관심

일본사진예술전문학교로 유학을 간 그는 히구치 겐지 교수를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첫눈에 ‘외로운 늑대’ 같았다는 히구치 교수는 핵발전소 피폭 노동자로 일하면서 원전 현장 사진을 많이 남긴 다큐멘터리사진가이기도 했다. 늑대가 늑대를 알아봤다. “너무 강해서” 다른 학생들은 대부분 싫어하던 히구치 교수와 그는 죽이 잘 맞아 존경하고 사랑받는 사제지간이 되었고, 사진인생의 출발점이자 영원한 사표가 되었다.

권씨는 학교 과제 겸 가부키초와 한센병 회복자 사진을 찍다가, 이번 사진전의 주인공인 ‘텟짱’과 인연을 맺었다. 텟짱(사쿠라이 데쓰오)은 아오모리현의 비교적 유복한 농가에서 태어났으나 17살 때 한센병 환자로 판명되어 41년 군마현 구사쓰 한센병요양원에 강제 격리 수용되었다. 요양소 안에서 결혼도 했으나 한센인의 출산이 금지됨에 따라 부인은 강제 낙태를 당했고 후유증으로 세상을 떴다. 텟짱도 한센병 신치료제 프로민의 부작용 탓에 신경통, 결절, 궤양, 연쇄상구균으로 인한 고열로 손은 뭉개지고 시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시각장애인용 장기를 배우면서 활로를 찾은 그는 끈기와 기억력을 바탕으로 50대 후반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 눈도 보이지 않고 펜을 쥘 손가락도 없어서 점자도 못 쓰는 그는 일주일에 한번 장애우회관 직원이 찾아오면 머릿속에 저장했던 시를 구술해 대필시켰다. 88년 첫 시집 <쓰가루의 자장가>를 출간하는 등 모두 6권의 시집을 냈다.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2011년 12월 87살로 세상을 뜬 텟짱의 파란만장한 삶이 권씨의 사진 속에 살아남아 있다. 텟짱은 유난히 심한 후유증으로 외모가 많이 망가진 까닭에 사람들은 사진은 고사하고 얼굴을 마주 보는 것도 힘들어했다. 권씨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대화를 하다 보니 공통점이 많았다. 유학생으로 타향에서 힘들게 살고 있던 권씨의 집도 어릴 때 과수원을 했고 7남매로 형제가 많았다. 고향에서 격리되어 수용된 텟짱도 과수원집 아들이었고 11남매로 형제가 많았다. 일본 북부 지방과 경북 산골의 추운 지방에서 자란 것도 같아서 둘이 잘 통했다.

이번 전시는 텟짱과의 약속이기도 했다. 권씨는 “처음 텟짱을 찍기 시작하자 주변에서 의심스런 시선을 보냈는데, 텟짱이 직접 나서 ‘촛불처럼 자신을 희생시켜 세상에 한센병을 알려야 한다. 나를 찍어라’라고 하셨다. 지난해 책도 나오고 이렇게 전시도 열 수 있어 기쁘다”고 했다. 또 그는 “곧바로 소록도에서 전시할 예정이다. 2016년 소록도에 한센병 전문병원이 들어선 지 100년이 된다. 전국을 돌면서 순회전을 하고 싶다. 10~30대 젊은 사람들은 한센병이 뭔지 모르고 그들이 역사의 피해자라는 사실도 전혀 모른다. 한센인이란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이제 한센병 환자는 거의 없는 셈이다. 완치가 되었으니 한센병 회복자라고 부르는 것이 맞고 계몽운동이라도 해야 한다. 기회가 된다면 강연도 많이 하고 싶다”고 밝혔다.

귀국한 계기가 뭔지 물었다. “99년 처음 한센병 회복자 사진으로 일본 잡지에 데뷔했다. 가부키초, 오쿠보의 코리아타운 한류, 야스쿠니 등을 찍었고 제법 잘나가는 사진가가 되었다. 2012년 ‘헤이트 스피치’가 일본 사회를 휩쓸면서 처음 ‘조센진’이라는 비하 발언을 들었다. 그 전까지 일본은 그런 나라가 아니었는데…. 아이도 어리고 해서 돌아오기로 결심했다.”

때마침 일본 생활 정리 차원에서 낸 사진집 <가부키초>가 2013년 일본 최고 권위의 ‘고단샤 출판문화상’을 받는 바람에 잠시 흔들리기도 했지만 그는 결국 돌아왔다.

앞으로 뭘 찍을지 묻자 “일본에서 한마리 외로운 늑대처럼 버텼다. 한국에서도 절대 타협하지 않고 사진작업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제주도에서 중국 자본에 팔린 이호테우해변의 해녀들을 만났다. 이들은 해변이 매립되는 바람에 양식장에서 물질을 하더라. 중국 자본의 잠식이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는지 볼 것이다. 또 기장과 울진, 영광의 바닷가를 가보려고 한다. 원전은 긴급한 문제다. 홍대 앞 문화도 찍을 것이다. 앞으로 15~20년 사이 홍대 앞은 신주쿠의 가부키초 같은 환락가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마약과 폭력배와 권력이 유착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고 했다.

그가 올해 안에 펴낼 야스쿠니 사진집도 기대된다. 서울대 전시는 2월6일까지 열린다.

글·사진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