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29 19:03 수정 : 2015.09.30 11:02

하영섭 옹

[짬] 15년째 한시 가르치는 하영섭 옹

쩌렁쩌렁 울린다. 마치 호랑이 한 마리가 좁은 공간에서 포효하는 듯하다. 힘차게 한시를 먼저 읊는 이는 90을 코앞에 둔 노인. 도저히 그의 목소리가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그를 따라 한시를 읽는 이들은 대부분 중년과 노년의 학생들. 학생 30여명의 목소리보다 칠판 앞에 꼿꼿이 서서 한시를 가르치는 선생의 목소리가 몇배 크다. 나이 든 훈장의 목소리에는 수백년 전 당나라 시인의 애절한 심정이 그대로 살아난다. 비록 동주민센터 옥상에 설치된 가건물에 만들어진 서당이지만 11년째 유지되고 있다. 도심 서당의 훈장은 호정(浩亭) 하영섭(89) 옹. 고위 공무원으로 은퇴한 뒤 한학에 빠졌다. 이제 살아 있는 친구도 별로 없는 나이에 그는 칠판에 한시를 쓰고, 한시의 뜻을 가르치고, 한시를 짓는 방법을 교육한다. 그의 강의 노트는 오랜 세월의 흔적을 그대로 품고 있다. 그는 한학자 위당 정인보(1893~1950) 선생의 맥을 그대로 잇고 있다.

종로1~4가동 주민센터 옥상에
한시 교실 열어 밑줄 쫙~~
1980년 공직 퇴직뒤 한학에 매료
정인보 맥 이어 17년간 한시공부

서당의 위치는 서울 도심 한복판. 종로구 탑골공원의 담장 옆에 있는 종로1~4가동 주민센터 3층의 조립식 가건물이다. 매주 화요일 오전 2시간, 오후 2시간 모두 4시간 강의한다. 조용히 교실로 들어가 맨 뒤 책상에 앉았다. 이날 하 옹이 칠판에 써놓은 한시는 당나라 시인 최도(崔塗)의 방랑하는 나그네의 고달픈 심정을 담은 한시. 옆에 있는 학생이 자신이 보고 있던 책을 같이 보자고 한다. 그는 단국대 철학과 김주창(60) 교수이다. 정통 한시를 배우고 싶어서 한달 전부터 수업에 참가했다고 한다. 미리 예습을 했는지 교과서에 밑줄이 그어져 있다. 바로 앞줄의 학생은 이 서당의 반장. 이미 10년째 강의를 듣고 있다. 그는 단국대학 철학과 황필홍(60) 교수. 황 교수는 한시를 좋아하다가 직접 지어보고 싶어 하 옹의 제자가 됐다.

교실은 훈장 선생의 세찬 기운이 압도를 한다. 하 옹이 한시를 먼저 읽은 뒤 자세히 설명을 한다. 하 옹은 직업군인 출신이다. 육사 6기생이다. 1948년 소위로 임관해 국방대학교 교수와 군단포병사령관을 거쳐 1969년 42살의 나이에 예편했다. 제대 후 행정사무관 시험에 합격해 다시 공무원의 길에 들어선 그는 1980년 국무총리실 행정조사실장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다. 50대 초반의 그는 나머지 인생을 한시를 공부하는 데 보내기로 마음을 먹었다. 젊은 시절부터 꾸준히 한시를 읽긴 했으나 제대로 배운 적은 없었다. 은퇴하고 한가롭게 인사동 고서점에서 시간을 보내던 그는 어느 날 우연히 일본어로 된 한시 해설서를 읽었다. 점심과 저녁도 거른 채 한시 해설서에 빠진 그는 고서점 주인이 문을 닫는다고 해서야 비로소 일어났다. 그리고 한시 스승을 수소문했다. 그래서 찾은 이가 당대 최고의 한학자였던 권우 홍찬유(1915~2005) 선생. 홍 선생은 정인보 선생에게 한학을 익힌 제자. 사서삼경뿐 아니라 <연려실기술> 등의 고전도 한글로 번역했다. 하 옹은 홍 선생에게 17년간을 배웠다. 17년간 한번도 수업을 빠지지 않은 ‘전설’도 전해진다. 심지어 고모부가 돌아가셨을 때에도 부인을 대신 조문 보낼 정도로 한학에 몰두했다고 한다. 하 옹은 한국한시협회를 조직하고, 2000년부터 한국한시학당을 세워 후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서울 운현궁 안에 방 하나를 얻어 서당을 시작했고, 협회 정관을 직접 써서 사단법인을 만들었다. 2004년부터는 종로주민센터 옥상의 조립식 건물에서 학당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하영섭 옹의 강의 노트
현재 국내에서 한시를 교육하는 곳은 서울에 서너 곳 정도가 있는데, 하 옹의 한국한시학당이 학당으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하 옹은 지난해 <한시작법의 정석>을 쓰기도 했다.

하 옹은 강의를 위해 매일 4~5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한다. 그의 강의 노트(작은 사진)에는 한시와 그 위에 의미와 주석을 단 글씨가 빼곡하게 적혀 있다. 현재 국내 백일장에서 사용되는 한시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인 ‘고선준칙’(考選準則)을 만들기도 했다.

그동안 하 옹에게 배운 제자는 대부분 대학 전·현직 교수들. 정통 한시를 배우기 위해 전국에서 제자들이 모여든다. 특히 하 옹은 한시를 짓는 데 중요한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에 정통하다.

하 옹은 “한시는 10년 이상 공부해야 제대로 맛을 느낄 수 있다”며 “한시의 계보를 이을 제자를 키우는 것이 보람”이라고 한다. 특별한 건강의 비결은 “걷는 것”이라고 말하는 하 옹은 “이제는 한 두해만 더하면 힘이 달릴 것 같아”라고 말한다.

글·사진 이길우 선임기자 niha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