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3.09 21:44
수정 : 2015.03.10 11:11
[심층리포트]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늦지 않았다 (하)
경기장 활용계획 없어 유지비 폭탄
2018 평창겨울올림픽의 대회 뒤 연간 시설유지비용은 210억4900만원인 것으로 추정됐다. 시설 운영 수익을 일부 얻더라도 유지비가 워낙 커 강원도나 지자체의 시설관리 연간 적자는 165억원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개최 없는 원안 고수의 정치논리가 지방재정을 황폐화시킬 수도 있는 수치다. 이런 결과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한겨레>가 분석한 것이다.
강원도나 정부, 조직위는 분산개최를 거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후폭풍은 크다. 평창에 짓는 슬라이딩센터를 대회 뒤에도 유지하려면 연간 31억6600만원이 들어간다. 그러나 이 시설을 활용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7000만원이다. 여름철에는 아예 사용할 수가 없고, 겨울철이라고 해도 이용객이 거의 없어 슬라이딩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것 자체로 앉아서 30억원 가까이를 지출해야 한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슬라이딩센터는 철거하는 게 남는 장사”라고 했다. 관동대 안에 짓는 아이스하키 2와 기존 시설을 보수하는 컬링장을 빼면 신설 올림픽 시설 활용 방안이 거의 없다. 1만석 규모의 아이스하키 1 경기장 유지비용만 29억원이다. 활용방안이 없으면 철거가 대안인데, 이럴 경우 올림픽 대회 뒤 남길 유산(레거시)이 없다.
평창올림픽 예산의 지속적인 증대도 정부나 지자체에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평창은 올림픽 유치 당시 8조8000억원 규모로 예산을 짰으나 올해 13조4800억원으로 총예산이 급증했다. 물가상승이나 설계변경 등의 요인으로 비용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학계에서는 비용 대비 효율이나 사후관리비용 부담, 올림픽 유산을 위해서라도 분산개최가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정용철 서강대 교수는 “비용 절감을 위해 스노보드 경기장을 휘닉스파크에서 하이원으로 이전하려고 하는 노력이 있었지만 ‘분산개최’ 논란을 키울까봐 검토 자체를 막고 있다. 조직위의 이런 태도가 분산개최 논란을 키우지 않았는지 자문해봐야 한다. 아이오시가 처음 분산개최를 제안했을 때 대통령이 단번에 거절하지 않고 진지하게 검토했다면 지금의 이런 혼란이 없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형중 허승 기자
hjyoo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