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단디뉴스> 대표 ‘재경 기숙사’라니, 시쳇말로 쪽팔린다.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이걸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재경 기숙사는 전국 각 지자체가 자기 지역 출신으로 서울과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을 위한 주거 지원사업이다. ‘지역인재 육성사업’이라고도 한다. 최근 경남도가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경남지역 서민 자녀를 위해 서울 강남구에 재경 기숙사인 ‘남명학사’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11월에 착공해 2018년 1월에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애초 이 사업은 2003년 김혁규, 2007년 김태호 등 역대 경남지사들이 시도했지만 그때마다 반대 여론에 밀려 ‘불발’이었다. 관련 조례가 제정됐지만 ‘서울 간 대학생’과 지역 내 ‘지방 대학생’의 형평성 문제, 지방분권과 지방대 육성에 역행한다 등등 여론도 만만찮았다. 그런데 홍준표 경남지사가 1년2개월 만에 밀어붙여 버린 것이다. 물론 도민 여론 수렴 따위는 없었다. 혹자는 우스갯소리로 개천에서 용 난다는 홍 지사의 ‘사심 가득한 사업’이라고도 말한다. 현재 전국적으로 광역·기초 지자체 18곳에서 서울에 기숙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광역지자체 중 현재 7개 시·도가 재경 기숙사를 이미 운영하고 있다. 강원도가 1989년 강원학사, 이어 1990년 경기도가 경기 장학관, 그 뒤 충북, 전북, 광주, 전남, 제주 등이 잇달아 건립했다. 광주·전남도는 최근 제1남도학숙에 이어 제2남도학숙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강원도도 제2강원학사 건립을 추진 중이라 한다. 그러고 보면 경남이 지금까지 건립하지 않았다는 건 다소 의아스럽기조차 하다. 여기에는 <경남도민일보>가 큰 몫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당시 이 신문의 김주완 기자는 ‘내부 식민지 근성 못 벗어나는 지역사람들’이라는 제목으로 지자체가 재경 기숙사 건립 등 ‘서울 간 대학생’ 지원에 앞장서는 것은 전형적인 식민지 논리이며, 노예 또는 거지 근성 때문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는 지자체의 재경 기숙사 건립 사업 배경에는 ‘지역출신 인재들이 서울에서 성공해 높은 자리에 오르면 결국 출신 지역을 챙겨주게 될 것’이라는 관료들의 얄팍한 논리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보다 조금 앞서, 강준만 전북대 교수도 그의 저서 <지방이 식민지다>에서 지역 우수인재를 서울로 보내는 것에 대해 ‘내부 식민지 근성에 찌든 추태’라고 몰아친 바 있다. ‘서울 공화국’과 식민지 국가 ‘지방’이라는 두 개의 국가에서 이중국적을 가진 지방 토호세력의 양다리 걸치기를 양산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계급 기반을 공고히 해준다는 것이다. ‘서울 간 대학생’이 출신 지역으로 돌아올 확률은 거의 없다. 아니 돌아오고 싶은 마음이 있더라도 현재 지역사회경제 구조로는 당장 일자리가 없다. 그들이 원하는 밥그릇이 없다는 것이다. 투자 지원한 인재는 개천의 미꾸라지처럼 잘도 빠져나간다. 이런 현실에도 지자체가 ‘서울 간 대학생’을 지원해주겠다고 나서고 있다. 현재 광역지자체에 이어 기초지자체도 서로 경쟁하듯이 밀어붙이거나 ‘간 보고 있는 중’이다. 경남도 내에서는 창원시가 예산 문제로 중단됐으나 거창군, 김해·거제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눈치 보며 추진하고 있다. ‘서울 간 대학생들이 중앙정부 요소요소 들어가 출신 지역을 잘 봐줄 거라’는 설레발을 치며 말이다. 재경 기숙사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지역 학생(‘인재’라는 표현 싫다. 서울에 있는 대학 가면 다 인재?)들을 또다시 경쟁으로 몰아 줄 세우기 시켜 결국에는 고스란히 서울 중앙정부에 갖다 바치는 격이다. 지방 식민지의 진상품이고 공물이다. 아, 끝으로 콕 찌르기 하나. 경남도에서 건립한다는 재경 기숙사가 ‘남명학사’라 하니 대뜸 옆에서 그러더라. “남명 조식 선생은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는데 우짜노?”라고. 하하.
칼럼 |
[지역이 중앙에게] 재경 기숙사를 아십니까? / 권영란 |
진주 <단디뉴스> 대표 ‘재경 기숙사’라니, 시쳇말로 쪽팔린다.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이걸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재경 기숙사는 전국 각 지자체가 자기 지역 출신으로 서울과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을 위한 주거 지원사업이다. ‘지역인재 육성사업’이라고도 한다. 최근 경남도가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경남지역 서민 자녀를 위해 서울 강남구에 재경 기숙사인 ‘남명학사’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11월에 착공해 2018년 1월에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애초 이 사업은 2003년 김혁규, 2007년 김태호 등 역대 경남지사들이 시도했지만 그때마다 반대 여론에 밀려 ‘불발’이었다. 관련 조례가 제정됐지만 ‘서울 간 대학생’과 지역 내 ‘지방 대학생’의 형평성 문제, 지방분권과 지방대 육성에 역행한다 등등 여론도 만만찮았다. 그런데 홍준표 경남지사가 1년2개월 만에 밀어붙여 버린 것이다. 물론 도민 여론 수렴 따위는 없었다. 혹자는 우스갯소리로 개천에서 용 난다는 홍 지사의 ‘사심 가득한 사업’이라고도 말한다. 현재 전국적으로 광역·기초 지자체 18곳에서 서울에 기숙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광역지자체 중 현재 7개 시·도가 재경 기숙사를 이미 운영하고 있다. 강원도가 1989년 강원학사, 이어 1990년 경기도가 경기 장학관, 그 뒤 충북, 전북, 광주, 전남, 제주 등이 잇달아 건립했다. 광주·전남도는 최근 제1남도학숙에 이어 제2남도학숙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강원도도 제2강원학사 건립을 추진 중이라 한다. 그러고 보면 경남이 지금까지 건립하지 않았다는 건 다소 의아스럽기조차 하다. 여기에는 <경남도민일보>가 큰 몫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당시 이 신문의 김주완 기자는 ‘내부 식민지 근성 못 벗어나는 지역사람들’이라는 제목으로 지자체가 재경 기숙사 건립 등 ‘서울 간 대학생’ 지원에 앞장서는 것은 전형적인 식민지 논리이며, 노예 또는 거지 근성 때문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는 지자체의 재경 기숙사 건립 사업 배경에는 ‘지역출신 인재들이 서울에서 성공해 높은 자리에 오르면 결국 출신 지역을 챙겨주게 될 것’이라는 관료들의 얄팍한 논리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보다 조금 앞서, 강준만 전북대 교수도 그의 저서 <지방이 식민지다>에서 지역 우수인재를 서울로 보내는 것에 대해 ‘내부 식민지 근성에 찌든 추태’라고 몰아친 바 있다. ‘서울 공화국’과 식민지 국가 ‘지방’이라는 두 개의 국가에서 이중국적을 가진 지방 토호세력의 양다리 걸치기를 양산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계급 기반을 공고히 해준다는 것이다. ‘서울 간 대학생’이 출신 지역으로 돌아올 확률은 거의 없다. 아니 돌아오고 싶은 마음이 있더라도 현재 지역사회경제 구조로는 당장 일자리가 없다. 그들이 원하는 밥그릇이 없다는 것이다. 투자 지원한 인재는 개천의 미꾸라지처럼 잘도 빠져나간다. 이런 현실에도 지자체가 ‘서울 간 대학생’을 지원해주겠다고 나서고 있다. 현재 광역지자체에 이어 기초지자체도 서로 경쟁하듯이 밀어붙이거나 ‘간 보고 있는 중’이다. 경남도 내에서는 창원시가 예산 문제로 중단됐으나 거창군, 김해·거제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눈치 보며 추진하고 있다. ‘서울 간 대학생들이 중앙정부 요소요소 들어가 출신 지역을 잘 봐줄 거라’는 설레발을 치며 말이다. 재경 기숙사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지역 학생(‘인재’라는 표현 싫다. 서울에 있는 대학 가면 다 인재?)들을 또다시 경쟁으로 몰아 줄 세우기 시켜 결국에는 고스란히 서울 중앙정부에 갖다 바치는 격이다. 지방 식민지의 진상품이고 공물이다. 아, 끝으로 콕 찌르기 하나. 경남도에서 건립한다는 재경 기숙사가 ‘남명학사’라 하니 대뜸 옆에서 그러더라. “남명 조식 선생은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는데 우짜노?”라고. 하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