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4 18:25 수정 : 2005.01.04 18:25

옆 가장자리나 언저리를 가리키는 북녘말에 ‘여가리’와 ‘역’이 있다. 함경북도 등지의 방언이던 것을 문화어로 인정한 말이다. ‘길 여가리’, ‘창문 여가리’, ‘책상 여가리’, ‘길역’, ‘우물역’, ‘창역’ 들로 쓴다. 그러나 사전에 ‘역’의 보기말로 길역과 우물역을 보였으되 ‘길역’은 ‘길녘’의 비규범어로 다루었다. ‘창역’은 ‘창가, 창문 쪽’과 비슷한 말로 윤동주 시와 산문에 나온다.

‘역’과 ‘여가리’의 됨됨이를 보자. ‘역’은 어떤 쪽이나 가(곳) 따위를 나타내는 ‘녘’을 첫소리 ‘ㄴ’을 줄여 일컫는 말이다. 그러니까 ‘길역·우물역·창역’은 ‘길녘·우물녘·창녘’으로 적어야 할 말들이다. 북에서는 또 가장자리나 언저리를 일컫는 ‘가녘’을 ‘가녁’으로 적는데, 이 또한 ‘개울녘, 강녘(북), 들녘, 문녘·물녘(북)·불녘(북·모래가 깔린 강가나 바닷가), 아랫녘, 윗녘, 안녘(북) 들처럼 ‘가녘’으로 적어야 ‘~+녘’ 합성어 적기가 일매지게 된다.

‘여가리’는 ‘녘-아리〉역-아리’에서 나온 말로 보인다. ‘쪽-아리’가 ‘쪼가리’로 익은 것과 같은 형태로, 뒤 말조각 ‘-아리’는 ‘속된 말맛’을 띤다. 함경도 말에 ‘옆’을 가리키는 ‘여파리’도 ‘옆-아리’의 짜임에서 나온 말이다. ‘밑동아리, 윗동아리, 아랫동아리, 끝동아리’(북) 따위의 동아리도 ‘동-아리’로 가를 수 있다. 밑동·아랫동·윗동의 말뿌리에 ‘-아리’가 더해진 꼴이다. 저고리의 끝동이나 색동은 ‘-아리’를 잘 붙여 쓰지 않는 것 같다.

이렇게 낱말의 조각들을 갈라서 그 뜻바탕을 하나하나 밝히어 엮는 일이 ‘형태소 사전 편찬’이다. 우리말의 고유한 형태소는 얼마나 되며,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을까?

조재수/사전편찬인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