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10.10 18:11 수정 : 2017.10.10 20:29

김태용 감독이 제작을 맡은 국악판타지극 <꼭두>의 한 장면. 국립국악원 제공

국악판타지극 ‘꼭두’ 리뷰

저승길 동행 전통 장례인형 소재
김태용 영화감독 연출로 화제
손주들 여정 따라가는 서사 탁월

무대는 허상·영화는 현실로
무대 분할의 역발상 돋보여
전통춤 더하며 다층적 의미 전달

김태용 감독이 제작을 맡은 국악판타지극 <꼭두>의 한 장면. 국립국악원 제공
요즘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는 보고 듣는 재미가 쏠쏠한, 유명 영화감독의 무대가 펼쳐지고 있다. 4일부터 공연 중인 국악판타지극 <꼭두>다.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죽음에 관한 세계관을 주제로 한 작품인데, 영화 <만추>, <가족의 탄생> 등을 만든 김태용 감독이 연출해 화제를 뿌렸다. 직접 본 공연 현장도 기대 이상으로 짜임새나 주제의식이 충실했다.

<꼭두>의 주역은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며 망자를 이끄는 꼭두인형으로 배우들이 꼭두인형을 연기한다. 우리의 전통 장례 상여에 붙어 그 모습을 구체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다. 망자와 동행해 편한 저승길로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는 꼭두들이 이 작품엔 넷이나 등장해 그들만의 여정을 그려내고 있다. 언제 돌아가실지 모르는 할머니가 갖기 원하는 꽃신을 손자와 손녀가 찾아다닌다. 어쩌면 사고로 죽음에 이르렀을지도 모르는 그들을 꼭두들이 동행하며 따라간다. 그 과정이 ‘미로’, ‘사천꽃밭’, ‘삼도천’, ‘흑암지옥’ 등의 험한 저승길 구석구석을 가는 모양으로 나타난다.

죽었을지도 모르는 손자와 손녀, 혹은 죽음이 임박한 할머니라는 두 개의 가정 사이에서 죽음의 여정길이 펼쳐지는 것이다. 작품 구조로는 상당히 영리한 배치라 할 수 있다. 보는 관객들은 어린 손자와 손녀가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안타까운 심정을 내내 그대로 품으면서 이들의 여정을 따라가게 된다. 한마디로 작품의 스토리를 제대로 다룰 줄 아는구나 하는 느낌이 왔다. 극 무대가 처음일 텐데도 능란하게 서사를 구성하고 펼쳐내는 김 감독의 내공이 드러난다.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 속에서 펼쳐지는 춤들은 판타지를 구현하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요소들이다. 화려한 부채춤은 의인화된 꽃으로, 도솔천은 살풀이의 긴 장삼으로 표현된다. 우리의 전통춤이 가지고 있는 다층적 의미들을, 돋보이는 시각적 해석으로 풀어내는 장면들이었다. 환상의 세계는 실재로, 현실의 모습은 영화로 풀어낸 무대의 분할도 논리적이다. 연극과 영화가 한 무대에 등장하는 형식은 1920년대에 잠시 등장했던 연쇄극(키노 드라마)이라는 명칭으로 존재한 바 있는데, 당시엔 구현하기 힘든 것을 영상으로 대치시키는 것이 일반적 흐름이었다. 하지만 <꼭두>에서는 이와 반대로 가상을 실재로, 현실을 허상으로 대치시켰다. 그리고 그 허상의 백미는 ‘진도만가’와 장례의례였다. 이제는 쉽게 볼 수 없는 우리의 전통문화가 영상을 통해 현대인에게 소개되는데,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만날 수 없고 간소화한 장례로 잊혀가는 죽음의 의식이 영상을 통해 전해진다.

그런 차원에서 작품 <꼭두>는 완성도를 떠나 구조상 탁월한 면모를 갖추었다고 평가할 만하다. 판타지가 현실처럼 쉽게 구현되는 요즘 세상에서 잊혀가는 전통문화를 영상 속에 잡아 놓겠다는 발상이 극의 기본 뼈대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김태용 감독이 제작을 맡은 국악판타지극 <꼭두>. 국립국악원 제공
최근 공연계에서는 이승과 저승의 사이를 다룬 작품이 눈에 많이 띈다. 얼마 전 하정우와 차태현의 캐스팅으로 화제가 된 신작 영화 <신과 함께>와 서울예술단이 공연한 같은 제목의 창작가무극은 만화가 주호민의 웹툰이 원작이다. 대사가 없는 무용에서도 국립현대무용단의 근작 <이미 아직>처럼 이승과 저승 사이를 다루는 공연들이 올려진 바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잃어가는 시간을 만가, 만장, 상여, 꼭두로 영상에 담고, 아름다운 진도의 풍광과 잊혀가는 세시풍속을 현실적으로 영화에 담은 <꼭두>의 콘텐츠는 주목할 만하다. 발전된 기술력으로 쉽게 구현되는 판타지를 통해 잊혀가는 현실과 실재를 드러내는 작가의 문제의식이 연극, 무용, 영화 등의 여러 장르를 아우르는 이해력과 잘 융화된 작업이었다.

다만, 손자·손녀의 여정이 끝나는 지점에서 할머니와의 만남을 영상도 아니고 실재도 아닌 사막과 그림자, 영상으로 처리한 부분은 좀 아쉽다. 기법은 훌륭했지만 왜 그들이 그렇게 이승과 저승으로 최종 배치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고, 유독 이 장면만 서둘러 처리된 듯한 인상을 주었다. 공연은 22일까지.

박성혜/춤평론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