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2.26 20:07 수정 : 2014.02.27 16:18

얼어붙은 바이칼 호수 위. 금 아래 흰 부분이 얼음 두께를 짐작케 하는 균열 자국. 멀리 보이는 자동차가 우아즈.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 바이칼호와 올혼섬 여행
빙판으로 변한 겨울 바이칼호와 비현실적 얼음세계 펼쳐진 올혼섬 탐방기

바이칼 위에 서다!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난 지 나흘 만인 2월12일, 말 그대로 우리는 바이칼 호수 위에 섰다.

선착장에는 여름에 사람들을 태우고 갔을 배가 얼음에 갇혀 드러누워 있었다. 탁 트인 배 뒤쪽은 물이 아니라 얼음세계였다. 36명이 모두 환호성을 지르며 달려나갔다. 처음엔 시퍼런 물 위에 떠 있는 얼음들이 믿을 만한지 조심조심 이리저리 재 보다가 금방 더 깊은 쪽으로 주춤주춤 영역을 넓혀갔다. 그래도 불안했다. 2500만년 전에 형성돼 지금도 지진이 잦은 바이칼은 여전히 생성 중인, 남북 길이 636㎞, 긴 폭은 약 80㎞, 좁은 곳이 약 25㎞인 세계 최대급 크기에다 가장 깊은 담수호다. 최대 수심 약 1700m, 평균수심 576~854m. 게다가 바이칼은 세계 최고의 청정도를 자랑하는 호수이기도 해서 얼음 밑은 현기증이 일 만큼 푸르고 투명했다. 아무리 자동차가 다닌다지만 오금이 저릴밖에.

저만치 교통표지판이 보였다. ‘차간 거리 200m’, ‘시속 30㎞ 속도제한’, ‘상하행 한길 사용 금지’. 얼음이 언 뒤에 구멍을 파고 심어놓은 것들이다. 표지판을 따라 자동차 바퀴들이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50대의 슬라브족 주코바 아저씨가 리드하는 독특한 형태의 러시아형 4륜구동 승합차 ‘우아즈’(UAZ) 4대가 일행을 분승시켜 달리기 시작했다. 평균 시속 40~60㎞의 과속(!). 아래는 매끈한 얼음 아래 시퍼런 물이 삼킬 듯 노려보고 있었다. 1㎞쯤 달려갔을까. 얼음이 꺼지면 어디 도와달라 외쳐볼 수도 없을 만큼 먼 곳에 주코바 아저씨가 차를 세우자 모든 차들이 그 주변에 섰다. 어, 이렇게 한꺼번에 몰려 있어도 되는 거야? 꺼지면 어떡하려고? 그 순간은 사람들이 추위 따위는 잊어버렸다. 얼음은 그냥 매끈한 게 아니라 여기저기 금이 쩍쩍 가서 다시 얼고 그 금 간 자리 아래쪽이 더 얼어내려간 자국이 그대로 보였다. 정말 1m는 넘겠다. 자동차 서너대가 한자리에 모이고 30명이 넘는 인간들이 내려 이리저리 발을 굴려보고 사진을 찍는다 부산을 떨어도 얼음판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공포는 사라졌다!

거대한 빙벽이 둘러친 바이칼 호의 바위섬.

그날 오후는 20여개나 되는 바이칼호 섬들 중에 길이 72㎞(크기는 제주도의 절반 정도)로 가장 크고 유일하게 사람이 사는 올혼(알혼) 섬의 후지르 마을 니키타 민박촌에 여장을 푸는 것으로 여정을 마쳤다. 도중에 젊은 운전수 바실리 등이 이리 와 보라며, 자신있게 보여준 붉은 이끼의 바위섬 뒤쪽은 거대한 고드름들이 엉겨붙어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올혼 섬으로 올라간 자동차들은 나무가 없어 황량해 뵈는 섬 비포장길을 30여분 달렸다. 여름엔 저곳들이 아늑한 풀밭과 꽃밭으로 변하겠지. 여장을 풀자마자 후지르 마을 언덕 너머에 있는 세계 샤머니즘의 성지 ‘부르한 바위’로 갔다. 살을 에듯 추웠다. 그 지역 부랴트인들 외모가 우리와 닮았고, 우리의 옛 성황당 비슷한 분위기와 유사한 천손신화, ‘불함문화’론을 떠올리게 하는 부르한이란 명칭 때문인지 그곳이 바로 우리 민족의 시원지라는 얘기들을 많이 들었다. 근거가 있는 얘길까? 단정할 순 없지만, 그때의 ‘우리’는 지금의 한반도인들만이 아니라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에서 동아시아까지 광범한 지역을 삶터로 삼아온 몽골족 전체가 돼야 하는 게 아닐까. 부랴트인들과 닮았다는 일부 우리 습속이 그 땅에 살던 선조들이 한반도로 이주하면서 갖고 온 것인지, 13~14세기에 그곳과 인근 몽골 초원을 발원지로 해서 유라시아를 제패한 칭기즈칸의 원 제국이 남긴 습속인지, 아니면 인종과는 무관한 샤머니즘 보편문화인지. 어쨌든 어딘지 신비와 영성의 기운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일행이 숙박한 바이칼 올혼 섬 후지르 마을의 니키타 민박촌.

통나무로 지은 니키타 민박촌은 예상보다 편안했고 음식도 괜찮았다. 거기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온 한국인 남녀 학생 4명을 만났다.

다음날은 여름엔 육로로 달려야 하는 올혼 섬 북쪽 끝 호보이(하보이) 곶까지 수십킬로의 여정을 줄곧 얼음 위로 달려갔다. 후지르는 올혼 섬 왼쪽 중간지점에 있어서, 그쪽 호수는 섬 오른쪽 대안이 보이지 않는 쪽보다는 상대적으로 좁지만 그래도 바다처럼 넓었다. 밤사이 살포시 내린 눈으로 전날처럼 매끈한 얼음판을 볼 순 없었으나 대신 그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장대한 규모의 얼음세계를 온종일 돌아다녔다. 삼형제봉의 기암과 붉은 이끼, 호보이 곶 절벽의 얼어붙은 기암들이 멀리 흰 눈을 인 산들에 에워싸인 바이칼의 신비로운 분위기와 함께 우주선을 타고 간 에스에프(SF) 속의 어느 먼 행성의 풍경처럼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여름에는 불가능한 부르한 바위 뒤쪽 풍경도 호수 위를 걸어다니며 살필 수 있었다.

호보이 곶 일대는 집채만한 얼음조각들이 말 그대로 벌떡 일어서서 호수를 뒤덮고 있었다. 그 지점부터는 자동차가 더 나아갈 수 없었다. 호수가 얼어붙는 과정에서 깨어진 얼음 조각들이 바람이나 큰 얼음덩이에 밀려 다른 얼음덩이와 부딪치면서 깨어지고 일어서면서 그대로 얼어붙어버린 모양이었다. 붉은 이끼의 기암절벽들 아래 장관을 이룬 거대한 빙벽들도 그 시기에 만들어진 자연의 걸작품이었다.

저녁에 러시아식 사우나 ‘바냐’ 체험도 했다. 멋모르고 달아오른 돌들 위에 무모하게도 많은 물을 끼얹어 확 퍼지는 뜨거운 열기에 혼비백산하기도 했지만 굴하지 않고 자작나무 가지 두들기며 잘 놀았다. 올혼 섬을 떠날 때 온난화 때문에 얼음이 잘 얼지 않는다며 언제까지 바이칼 위를 자동차로 달릴 수 있을지 현지 주민들이 걱정한다는 얘길 들었다. 바이칼조차 무사하지 못할까?

바이칼호/글·사진 한승동 기자 sdh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 커버스토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