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19 16:55 수정 : 2019.02.19 17:21

인터넷자율정책기구 검색어 검증위, 이용자 2천명 대상 설문조사 발표
포털사업자가 검색어 개입 여부에 “공인 아닌 일반인 검색어엔 개입해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세월호(참사가 벌어진 것이) 잘됐다’라는 검색어는 포털사이트가 삭제해야 한다는 이용자들의 의견이 많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의 참사 당시 행적과 같은 ‘세월호 7시간설’은 그대로 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예훼손성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에 포털이 개입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고위공직자·정치인이 아닌 일반인 관련 검색어에는 개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네이버 검색서비스 운영에 대한 검증을 담당해온 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색어 검증위원회는 검색서비스 운영에 대한 국민정서와 일반인들의 판단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검색어 서비스 정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이같은 결론이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이 조사는 지난해 10월 19~60살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이재신 중앙대 교수와 윤성옥 경기대 교수가 분석한 것이다.

포털사이트의 검색서비스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실급검), 자동완성, 연관검색어 등으로 나뉜다. 이용자들은 검색어 서비스를 하루 2~5회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번 이상 사용하는 ‘헤비유저’는 20~30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급검의 경우 화젯거리나 이슈를 확인할 목적으로 하루 1~3개 정도를 클릭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조사됐고, 하루 10개 이상 보는 이용자는 2.9%로 낮게 나타났다. 위원회는 “실급검 서비스에서 이용자들은 자신에 대한 영향은 작게 판단하는 반면 타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는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에 포털사업자가 개입해야 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잘 드러난다. 명예훼손성 검색어를 포털사업자가 삭제 등의 방식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는지를 물었더니, 고위공직자·정치인·기업인에 대한 명예훼손성 검색어에 대해서는 26.5~27.6%만 개입(적극 개입·개입 비율 합산)해야 한다고 판단했으나, 연예인 관련 검색어는 응답자의 36.9%, 일반인 관련 검색어는 57.6%가 개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생활·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입 필요성에 대해선 고위공직자(34.1%), 정치인(35.1%), 기업인(37.2%), 연예인(49.0%), 1인 크리에이터(52.2%), 일반인(69.8%) 관련 검색어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공인’보다는 일반인의 검색어 노출에 따른 피해를 더 우려하는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검색어 삭제 기준에 대해서도 의견은 비슷했다. 언론에서 익명보도된 뒤 논란이 되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의 경우 시사고발 프로그램+종교인(77.6%), 소비자 고발프로그램+음식점(78.5%), 예능 프로그램+연예인(57.5%)은 ‘그대로 둔다’는 의견이 많았다. 세월호 관련해서는 ‘세월호 잘됐다’(78.8%), ‘세월호 공양설’(62.8%)은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세월호 7시간설’(61.4%)은 ‘그대로 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포털 검색어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용자들의 79%가 ‘검색어 서비스 운영원칙이나 기준을 공개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87.1%는 외부검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공정한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포털사업자의 자기 책임의 원칙에 따라 관리’(37.7%), ‘정부의 행정규제 강화를 통해 관리’(20.9%), ‘국회의 입법규제 강화를 통해 관리’(14.4%), ‘제3의 자율단체나 기관을 통해 관리’(13.5%) 순으로 나타났다. 법률이나 행정적으로 관리되는 것은 원치 않는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검색어 서비스 정책에서의 ‘불개입’ 원칙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며 “검색어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