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5.06 18:37 수정 : 2019.05.06 20:31

전통 킥보드 공유 서비스 ‘씽씽’을 시작한 윤문진 피유엠피(PUMP) 대표. 피유엠피 제공

‘씽씽’ 내놓은 윤문진 PUMP 대표

“쇼핑몰·카바레 운영 등 흥망 맛봐
2012년 창업 배달서비스 ‘띵동’ 활용
스쿠터 관리·고객 응대 효율성 향상

요금, 이용시간따라 내면 고객 조급
월정액 ‘구독’ 모델 안전운행에 도움”

전통 킥보드 공유 서비스 ‘씽씽’을 시작한 윤문진 피유엠피(PUMP) 대표. 피유엠피 제공
서울 강남의 거리를 돌아다니다 보면 다양한 색의 전동 킥보드를 볼 수 있다. 최근 ‘라스트-퍼스트 원 마일’(전체 여정 중 시작 직후와 도착 직전의 짧은 거리)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한 공유형 개인 교통수단(퍼스널 모빌리티)이 주목받고 있는 결과다. 강남을 중심으로 킥고잉·고고씽·스윙 등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가 성업 중인데, 전국적으로 10개 이상의 업체들이 뛰어들었다. 여기에 온라인 기반 심부름서비스 ‘띵동’의 창업자 윤문진(40) 피유엠피(PUMP) 대표도 ‘씽씽’이라는 브랜드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 3일 서울 역삼동 피유엠피 사옥에서 윤 대표를 만났다. 그는 여느 스타트업 창업자 못지않게 여러 역경을 겪었다. 스무살 때부터 초고속인터넷업체에서 일하던 윤 대표는 2005년 인터넷 의류 쇼핑몰을 창업했다. 지금과 달리 인터넷으로 옷을 잘 사지 않던 시절 ‘피팅 모델 착용 샷’을 담은 쇼핑몰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3년 만에 ‘망했다’. 그는 “한 해 쇼핑몰이 10만개씩 생길 정도로 레드오션이 된 걸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다가 된통 당했다”고 회고했다.

방황하던 윤 대표는 2007년 서울 황학동 곱창 거리에 40년 된 건물 매각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 카바레와 콜라텍이 세 들어 있는 건물이었다. 매입자는 나타나지 않았고, 윤 대표는 건물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카바레를 운영하게 됐다. 그런데 뜻 밖에 장사가 잘 됐다. “춤추다 건물이 무너지겠다”는 말이 돌 정도였다. 2011년 건물을 비싼 값에 매각하면서 사업의 종잣돈을 얻었다.

이듬해 ‘띵동’을 창업했다. 띵동은 배달 안 되는 맛집의 음식 배달부터 편의점 심부름까지 대신해주는 온라인 ‘심부름서비스’다. 2016년 서울 강남에서 서울 모든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그러나 배달대행 업체들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사업 지역을 다시 강남으로 축소하게 됐다.

재기를 꿈꾸던 윤 대표의 눈에 지난해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가 들어왔다. 지난해 말 법인 피유엠피를 설립하고 서비스 이름을 ‘씽씽’이라고 지었다. 지난달 말 무료 시범서비스를 시작했고 이달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공식 서비스를 개시한다. 올해 안에 주요 대도시로 넓혀 3만대를 운영하는 게 목표다.

윤 대표는 “승부는 길 위에서 난다”고 강조했다. 전동 킥보드의 유지보수와 관리, 고객 응대 등에 성패가 갈린다는 것이다. ‘띵동’의 인프라와 인력을 연계시켜 스쿠터를 관리하는 게 주요 전략이다. 윤 대표는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고 서스펜션(충격방지장치)이 탑재된 스쿠터 제조 업체를 찾아내 독점계약에 성공했다. 중국의 생산업체를 이 잡듯 뒤진 결과다. 핀테크 보험회사와 함께 전용 보험 상품도 개발 중이다.

‘구독’ 모델을 내세운 것도 흥미롭다. 월정액제 등으로 일정 금액을 내면 제한 없이 탈 수 있게 했다. 윤 대표는 “직접 타보니 요금이 높은 것도 아닌데 시간에 따라 올라가니 사람을 쪼들리게 하더라. 이게 안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구독 모델이 사업의 핵심인 코웨이의 김동현 전 대표이사도 부대표로 영입했다.

규제 문제는 큰 고민거리다. 현재 전동 킥보드의 안전 기준이나 ‘도로 점용료’와 관련해 규제가 마련돼 있지 않다. 윤 대표는 “퍼스널모빌리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거스를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정부 주도로 사업의 방향이 잘 정리돼 시장이 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