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5.02 14:23
수정 : 2019.05.02 19:25
지난 1월까지 총 21건 화재 발생
불붙으면 1분40초 뒤 열폭주 현상
“유사환경 만들고 실증 시험 중
6월 초 조사 발표에 최선의 노력”
남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총 21건의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비정상적인 외부 전기 충격’ 등에 무게를 싣고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 1월 시작한 조사가 계속되자 ‘업계 고사 위기’ 목소리가 나오는 데 대해, 정부는 ‘화재 발생시 전소해버리는 까닭에 원인 규명이 쉽지 않다’며 6월 초 조사 발표를 예고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박정욱 제품안전정책국장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76개 화재 가능성 선정해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라며 “현재까지 53개 실증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지난 1월3일 전기·배터리·소방 등 분야별 전문가 19명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원인조사위원회를 출범시켰다. 2016년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배터리 화재 조사를 수행한 산업기술시험원의 전문 인력들도 참여하고 있다. 조사위의 규명 작업은 소방청 등 관계기관과 엘지(LG)화학·삼성(SDI) 등 23개 관련 기업과의 화재원인 조사·분석으로 시작됐다.
조사위의 김정훈 홍익대 교수는 “현재는 실증 시험을 하고 있다”며 “전북 고창·정읍 시험장에서 실제 화재사고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해 장치를 다시 분해해 살펴보는 등 정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에너지저장장치는 한번 불이 붙으면 평균 1분40초 뒤엔 열폭주 현상이 벌어지고 전소”해 조사가 어렵다며 “갤럭시노트7 배터리 화재 때나 베엠베(BMW) 화재사고 때도 원인조사에 5개월씩 소요됐다. 조금만 더 원인 조사를 기다려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사위는 비정상적인 외부 전기적 충격을 받아 구성품이나 시스템에 고장이 생겼거나, 결로·먼지 등의 열악한 운영환경이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업체 등은 정부 조사가 신속히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 1490개 사업장 가운데 가동 중단 중인 곳은 522곳이다. 정부는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돼 있거나, 별도 건물에 설치돼 있지 않은 공장용 에너지저장장치 가동 중단을 요청해 뒀다. 재생에너지 연계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장 778곳 가운데 95%인 740곳(1655MWh)은 충전율을 낮추고 가동 중이다.
산업부 집계로, 전 세계 에너지저장장치 중 80% 한국 제품이다. 그런 만큼 잇단 화재 발생이 관련 업계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산업부는 “6월 초 원인 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에너지저장장치 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급 활성화 지원 방안도 내놓겠다”고 밝혔다. 또 조사결과 발표 뒤 신속히 설치 안전 기준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국제 표준 제정을 기다리지 않고 5월 말까지 케이에스(KS) 표준을 제정할 계획이기도 하다. 가동 중단 요청에 따르는 사업장에는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재생에너지 발전 의무비율이 있는 발전공기업 등 대형 발전사에 판매할 수 있는 인증서) 추가 발급 등의 지원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