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16 17:04 수정 : 2005.02.16 17:04

서종대 건교부·주택국장

“판교새도시의 중대형 아파트는 평당 1500만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고, 분양가상한제(원가연동제) 적용 아파트는 평당 900만원 안팎이 되도록 하겠다.”

서종대 건설교통부 주택국장(사진)은 16일 연초부터 부동산 열풍의 진원지 역할을 하고 있는 경기 판교새도시에 대해 “채권입찰상한제 등 투기를 막을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17일 종합대책을 발표한 뒤, 건교부, 국세청, 검찰까지 동원해 투기세력을 가려낼 방침이다.

서 국장은 “판교새도시의 아파트 값이 평당 2천만~3천만으로 치솟으면 인근의 아파트 값도 덩달아 오르고 이런 오름세가 다른 지역의 일반아파트로 번지면 겉잡을 수 없다”며 “어떤 일이 있어도 판교새도시의 아파트 값을 인근인 분당 수준으로 관리해 분양가 폭등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판교 아파트 가격을 인근지역 아파트와 비슷하게 하면 웃돈을 기대하기 어려워 투기자본보다는 실수요자들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는 전용면적 25.7평 이하 아파트는 상당한 웃돈이 붙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이어, “주택시장의 과열을 막으려면 장기적으로는 공급을 늘리는 길 밖에 없다”며 “경기 고양 삼송지구 등 수도권 택지개발지구를 새도시 수준으로 개발하고 판교 수준의 새도시를 수요가 있는한 수도권에 계속 조성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공공택지, 민간택지 개발도 병행해 나가겠다”고 덧붙힌 그는 “중·장기적으로는 보유세를 현실화하고 임대주택 공급을 늘려 집값을 원천적으로 안정시키는 방향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겠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의 부동산 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한 뒤 “경기가 나아지고 있어 불안 요인이 있기는 하지만 판교 분양가만 적정 수준에서 잡으면 안정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끝으로 “요즘 서울 강남 재건축시장과 판교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재건축 이익을 환수하는 ‘도시 및 주거 환경정비법’ 등 부동산 투기 억제법이 이번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며 정치권의 이해를 당부하기도 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