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03.30 20:32
수정 : 2015.03.30 20:32
경제위축에도 중동서 역할 커져
보수파 협상 반대도 만만치 않아
이란 핵협상 종료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제재로 어려움을 겪어온 이란 경제가 핵협상 타결의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란 경제는 전년 동기 대비 자동차 생산이 58% 늘고, 피스타치오 수출도 71% 성장하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경제제재가 해제될 수 있을지가 회복의 관건인 상황이라고 <워싱턴 포스트>가 29일 전했다. 아직은 외국인 투자가 극히 적고, 청년실업이 만연해 있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카림 사자드푸어 수석 연구원은 이란 경제가 “세개의 전선에서 피를 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제재와 저유가, 그리고 이란의 동맹국에 대한 군사 원조 비용이다. 사자드푸어 연구원은 “이란의 경제는 위축되고 있지만, 중동 지역에서 이란의 역할은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은 지속될 수 없다”며 “이것이 이란이 핵 협상에 서명하게 만들 원동력”이라고 분석했다. 컨설팅회사 아이에이치에스(IHS)의 브라이언 플래먼던 이코노미스트는 “이란이 제재에 의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며 “비록 지난해 경제가 3.5% 성장했지만 저유가가 올해의 경제를 다시 후퇴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란 경기 침체의 주요 원인중 하나는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전 대통령의 정책이라고 <워싱턴 포스트>는 분석했다. 그가 대통령으로 재임한 8년 동안 이란은 매년 최고 1000억달러를 에너지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2백만명에게 저가 주택을 공급했다. 그 결과 인플레이션은 약 45%에 이르렀다. 2013년 8월 취임한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그런 정책을 일부 수정해 보조금을 삭감하고, 통화팽창을 억제해 인플레를 둔화시켰다. 핵협상을 시작해 원유 수출과 자동자 부분에 대한 제재를 약간 완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란이 핵협상에 합의하고 제재가 완화되면 하루 1백만배럴의 원유를 더 수출할 수 있는 시장이 다시 열린다. 제재로 묶여 있는 1천억달러가 넘는 원유판매대금의 상당 부분도 풀릴 수 있다.자바드 살레히이스파하니 버지니아공과대학 교수는 “대이란 제제 조처가 해제되면 이란 경제는 연간 5∼8%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핵협상에 대한 이란 내 보수파의 반대는 만만치 않다. 특히 최근 핵협상 국면에서 로하니 정부의 핵협상 타결 노력을 암묵적으로 지지해온 최고지도자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의 신병이상설까지 나돌고 있어 이란 내 진보-보수 세력간 다툼이 더 치열해질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 등은 분석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